-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Stage Class Designing and Application of Team-Based Learning on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희(Lee, Eun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3호, 651~67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1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동작교육의 팀기반학습을 위한 수업 단계 설계와 적용 방법을 제시 하고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M대학교 유아교육과 1학년생 34명이며, 2016학년도 2학기 유아동작교육 교과목이다. 팀기반학습 수업은 주당 3시간씩 10주 동안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실험처치 전후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사전검 사와 사후검사 평균에 의한 대응표본 t-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팀기반학습 수업은 선행학습, 개인별 평가, 팀별 평가, 이의제기 및 피드백, 강의및 응용문제해결 단계로 설계하였고, 학습자의 수업 단계에 대한 적응이나 수업 내용 등을 반영하여 유아동작교육 교과목에 각 단계들이 점진적・단계적으로 진행되도록 수업을 제시하였다. 팀기반학습에 대한 효과를 검증한 결과 팀기반학습 수업을 실시한 후 학습자는 자기주도적 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 만족도에서 모두 유의 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기반학습에 대해 학습자들은 자발적으로 선행 학습을 하게 되었고, 팀 구성원 및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 및 실제 적용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따라서 팀기반학습은 학습자의 책임감, 경쟁심 및 상호작용을 자극하여 예비교사 교육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교수법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tage class designing and application of Team-Based Learning program on the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The objects of study was 34 M university students, those who have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tending in 2 semester 2016. Team-Based Learning was processed a 3 hours week for 10 weeks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data collection make use of the question paper at experimentation before and after. The measurement date was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t-test on mean values i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eam-Based Learning course was planned stage by stage as prerequisite learning, individual evaluation, teams evaluation, make an objection and feedback, lecture and then an applied question solution. that is also proceed by stages on the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course applied the course stage and contents.
The results was statistically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satisfaction of the posttest learner.
Team-Based Learning shows a useful teaching that has induce to learners responsibility, competition and interaction in cla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