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Experiential Elements in Teaching Practice for Developing PCK Factors of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지현(Yoon, Ji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3호, 675~70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10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에서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PCK 요소 개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PCK 요소를 개발해 나갈 수 있었던 교육실 습에서의 경험 요소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사범대학의 과학교 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 중 화학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8명의 예비교사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을 마친 2016년 6월에 교수전략, 학습자, 교육과정, 평가와 같은 PCK 요소 별로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었던 교육실습의 경험 요소를 살펴볼 수 있도록 개발한 설문지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일주일 후에 설문지를 모두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수전략의 경우 예비교사들은 실제 수업이라는 경험 요소만으로도 교수전략에 해당하는 전문성을 개발해 나갈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에 대한 지식에서 인지적·정의적, 선개념 측면과 관련하여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었다고 언급한 교육실습에서의 경험 요소는 없었다. 교육과정의 경우,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에서 수업지도안 작성과 실제 수업, 지도교사와의 관계 등을 통해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을 개발할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평가에 관한 인식 여부에 상관없이 예비교 사들이 교육실습에서 평가와 관련된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었던 경험 요소는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 element in the teaching practice in which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develop PCK factors in order to prepar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PCK factors of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in the teaching practice. For this purpose, the eight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ed in chemistry education among th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in the science education department of the college of educ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selected. After the pre-service teachers completed the their teaching practice, they provided a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to explore the experience elements of teaching practice by PCK factors such as teaching strategy, learner, curriculum, and evaluation in June 2016. And then,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one week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teaching strategy,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develop the professionalism corresponding to the teaching strategy by only the experience element of the actual class. There was no experience element in the teaching practice that mentioned that it was possible to develop professionalism in relation to the cognitive·affective or preconception aspects in the knowledge of learner. In the case of curriculum, the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develop the professionalism of the curriculum through the teaching plan preparation, the actual clas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experience element in which the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develop expertise related to evaluation in teaching practice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aware of the evalua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