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Features of Kumdo Participants 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Exercise Adher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현직Song, HyunJik) 서미진(Seo, MiJin) 김명미(Kim, MyungMi) 임승현(Lim, Seung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3호, 179~19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1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검도운동 참가자의 대인관계 특성과 심리적 행복감, 운동지속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였고, D광역시에서 검도를 수련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자 대상을 모집 단으로 선정하여 임의표본추출법(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총 400명의 표본을 추출한 후 수거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작성되었다고 판단되거나 설문의 일부 내용이 누락된 13명의 자료를 제외한 유효표본 총 387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설문지는 탐색적 요인분 석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문항의 내적합치도로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목적에 따라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검도운동 참가자의 대인관계 특성이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쳤다. 대인관계 특성은 심리적 행복감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검도운동 참가자의 심리적 행복감이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쳤다. 심리적 행복감은 운동지속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검도운동 참가자의 대인관계 특성이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쳤다. 대인관계 특성은 운동지속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으로 볼때, 검도운동 참가자의 대인관계 특성은 운동 지속에 긍정적인 인과관계를 형성하고 있으 며, 심리적 행복감과 대인관계 특성과 운동지속의 관계에 매개역할을 하는 변인으로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인관계 특성이 심리적 행복감, 운동지속에 직접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features of kumdo participants with psychological happiness and exercise adherence. The hypothesis was set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data was collected from 378 adult males over the age of 20 training in kumdo at D Metropolitan City for use in analysis.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research to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features were composed of the sub-factors of role disposition, social relationship disposition and expression disposition.
Psychological happiness was composed of the sub-factors of sense of self-realization, competence, immersion, and pleasurable entertainment. Exercise adherence was composed of the sub-factors of inclination, possibility and strengthening.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as such had their feasibility verified through explorative factor analyses, and the reliability was checked through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questions. Data was processed by correlation analysis to check the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bjective after computation and using SPSS 2.0 program,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see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The significant level (⍺) for data analysis was set at .05.
First, there was a correlation amo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features, psychological happiness and exercise adherence of kumdo participants. Seco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features of kumdo participants affected psychological happiness.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 features had positive (+) effects on psychological happin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happiness of kumdo participants affected exercise adherence. It was also found that psychological happiness had positive (+) effects on exercise adherence. Four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features of kumdo participants affected exercise adher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