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quiry of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Microteaching: Based on experience of class critic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선(Kim, HyeS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3호, 53~8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1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교사교육에 있어 ‘마이크로티칭 수업’의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과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4년 1학기 본 연구자의 ‘교과교육 론’ 수업을 연구학급으로 하여, 66명의 유아교육과 학생(2학급)들이 참여하였다.
2014 한 학기 수업 중 7주간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수업계획과 실행(촬영), 평가와 비평, 재수업(재촬영)의 모의수업 과정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1학기 학생들의 수업 영상물과 결과물, 학생의 저널과 평가지, 연구자의 교수일지 등을 수집 하고, 2년간(2015-2016년)분석, 해석, 재해석 과정을 통해 그 효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수업지도 기술의 성장하였으며 자신들의 수업을 다시 보는 과정을 통해 암묵적 지식의 확인, 수업이론에 대한 재해석 등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경험할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수업비평과 수업개선의 경험을 통해 수업연구의 의미를 발견하였으며, 지식 공동체로서의 협력적인 교실문화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마이크 로티칭의 효율적인 적용은 예비교사들의 교과수업기술의 성장뿐 아니라 수업에 대한 전문가적인 시각과 비평적 사고를 경험하도록 함으로써 대학의 학습자중심의 교수․학습방법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microteaching class’ in preliminary teacher education and the effects of those methods. To this end, 66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wo classes) were selected from classes of the course ‘Curriculum Education’ in 2014 lectured by this researcher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for seven weeks in a semester consisting of simulation courses for curriculum planning, practice(video-recording), evaluation and critic, and re-practice(video re-recording). The data collected were video-recorded data and outcomes of students’ classes, students’ journals and evaluation results, and this researcher’s teaching journals(2014). The data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o derive the effects of the microteaching class(2015-201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students’ class teaching skills grew and the students could experience differences between theories and practice so that they could identify their implicit knowledge and reinterpret class theories. In addition, the students found the meaning of the class study through experience of class critic and class improvement and experienced cooperative classroom culture as a knowledge community.
Therefore, efficient application of microteaching is considered to be helpful to the stud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 university education of preliminary teachers by not only facilitating the growth of preliminary teachers’ class teaching skills but also enabling preliminary teachers to experience expert view and critical thinking of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