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types of use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motive and satisfaction as learning media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운선(Woonsun K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3호, 333~35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1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사회과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의 활용동 기와 학습매체로서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 소셜 미디어 활용행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등학교 사회과 예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편의표집방법 중의 하나인 임의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군집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소셜 미디어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으며, 활용행태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가 제안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예비교사의 소셜 미디어 활용행태는 관람자(30.3%), 참가자 (27.2%), 창작자(23.8%), 그리고 비참여자(18.6%)의 네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요인분석을 통해 소셜 미디어 활용동기는 학업, 인정, 사회관계, 그리고 정보공유의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셋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소셜 미디어 활용행태는 활용동 기와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끝으로 이 연구의 이론적 함의와 연구 한계 및 미래의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 object was to tes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ypes of use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motive and satisfaction as learning media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For gathering the data, surveys were distributed at university in Kyungsangbuk-do. K-mean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ypes of behavior, and I applied the causal-steps approach described by Baron and Kenny(1986) for testifying the mediating effects.. The findings are as follow. 1) The types of use behavior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spectators(30.3%)’, ‘the joiners(27.2%)’, ‘the creators(23.8%)’, and ‘the inactives(18.6%)’. 2) To explore what motivates users to use social media, the study ran factor analysis to determine the potential groupings of 18 items. The analysis yielded four factors: learning motive(factor1), recognition motive(factor2), social relation motive(factor3), and sharing information with others(factor4), 3) The types of use behavior could be a partial medi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motive and satisfaction as learning media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The paper includes theoretical implications, a discussion of the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논의와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