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asures of Throwing Clas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만의(Kim Man Eu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호, 367~39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05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던지기 수업을 분석하고, 수업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초등학교 체육전담 경험 교사 4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질문지, 심층면담, 이메일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주제별 약호화와 분류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던지기 활동을 결과 지향적이고 기능이 필요한 과제, 위험한 과제(시설, 용구 등)로 인식하였다. 둘째, 던지기에 대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과학적 원리에 대한 이해와 기초기능의 습득 및 다른 활동으로의 확대 적용에, 경험이 없는 교사들은 기록에 도전하는 태도에 각각 초점을 두고 지도하였다. 셋째, 수업의 어려운 점으로 제재 및 내용의 단조로움으로 인한 동기유발 어려움, 안전한 수업 공간·다양한 교구의 부족, 교사의 역량 부족 등을 들었다. 연구결과를 통한 던지기 수업의 개선을 위한 방안은 첫째, 교육과정에서 던지기 제재는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고학년까지 운동발달 단계에 맞게 재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자질 함양을 위해서는 예비교사교육 과정과 현직 연수과정이 연계성이 있는 지속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안전한 물리적 환경과 활용 가능한 교구 확보를 위한 행정적 지원과 함께 교사들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at analyzing throwing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and finding ways to improve the class. To accomplish this goal, 4 teachers with the experience of taking full charge of P.E. class at the elementary schools in D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in-depth study and e-mails, and then analyzed in the method of encoding and categorization by topic. As the study result, first, the research subjects recognized the throwing activity as an outcome-oriented task demanding functions and a dangerous task(facilities, tools and etc.). Second, the teachers with the experience of throwing guided students with focus on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principles, acquisition of basic functions and extended application to other activities, and those without the experience with focus on the attitude to challenge to record. Third, they mentioned the difficulty in motivation owing to the monotonous topics and contents, lack of safe class space, various teaching tools and teachers capability and etc. As for th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throwing class through research results, first, the topic of throwing in the curriculum must be reorganized fit for the physical developmental stages from kindergarten to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Second, cultivation and improvement of teachers qualifications have to be conducted as a consistent process in connection to the preliminary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nd the training course for the present teachers. Third, in order to secure safe physical environment and applicable teaching tools,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change in teachers recognition are necessar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초등학교 던지기 지도에 대한 탐구
Ⅳ. 던지기 수업 개선을 위한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