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강민정
- 간행물 정보
- 『ISSUE PAPER』기본연구사업[2016],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국문 초록
■ 여성인력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남녀 고용률 격차는 남성 71.1%, 여성 49.9%로 기업에서는 여성인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 ■ 이들 여성인력 활용 증대를 위해서는 경력개발과 연계된 일·가정 양립이 가능한 고용환경 조성이 중요함. - 특히, 여성근로자 88.6%가 중소기업에 종사하며 중소기업 특성이 다양한 만큼, 이들 기업에 맞는 정책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에서는, 먼저 경제활동인구조사, 일·가정 양립실태조사 등을 활용하여 주요 정책대상이 되는 20~30대 여성종사자 비중이 높은 업종을 구분함. - 그 결과 제조업, 보건업 등 4개의 업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정책수요 실태조사 및 중소기업 인사담당자 및 여성근로자 FGI를 실시함. - 현황, 문제점 분석 및 정책제언은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부분과, 업종별 특성에 맞는 부분으로 구분하여 제시함. ■ 정책수요 실태조사에서는 출산 및 육아 휴직 등으로 인한 여성인력 기피, 일·가정 양립제도에 대한 CEO관심 저조 및 시혜적 태도, 휴가등 사용 어려움을 공통적 문제로 꼽았음. -제조업은 근로시간의 유연적인 운영의 어려움,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은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부정적 견해, 보건업은 근로조건의 열악함 등의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음. - 또한 FGI결과 육아휴직의 제한적 사용, 연차소진율 저조, 보육서비스 부족을 공통적인 의견으로,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은 대체인력 구인의 어려움,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은 복귀 후 직무가 사라짐, 적응이 어려움, 보건업은 유휴간호사 운영 문제, 암묵적 임신순번제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으로 나타남. ■ 이를 바탕으로, 정책개선과제로는 ①출산전후휴가의 의무기간을 120일로 연장, ②남은 육아휴직 기간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 의무화 및 자녀 초등학교 입학 시 한 달 추가, ③중소기업 근로자 자녀의 인근 국공립 어린이집 우선권 부여, ④중소기업 지원제도에 대한 수요자 중심 홍보 강화등을 제시.또한, ⑤업종별로 대체인력 인수인계 기간 동안 인건비 지원, ⑥대체인력풀링제, ⑦시간선택제 근로모델 개발 및 확산, ⑧전업종을 대상으로 초과근로 줄이기, ⑨양성평등한 채용프로세스 구축 등의 사업을 제안함
영문 초록
목차
1. 배경 및 문제점
2. 조사 및 분석결과
3. 정책제언
4. 기대효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