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tent Element of Invention Education for Practical Art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Content Standard of Invention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대영(MOON, DAE-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7권 제1호, 219~23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에서 다루어야 할 발명교육 내용요소를 도출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실과교육과 발명교육 분야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 비율을 산정하는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육 내용표준의 5개 영역 중에서 ‘발명 이해’, ‘문제 발견’, ‘문제 해결’의 3개 영역이 초등학교 실과의 발명교육 내용요소로서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교 실과에서 발명교육의 기본 틀은 이러한 3개 영역을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발명교육 내용표준 16개 중에서 ‘발명의 기초’, ‘발명의 역사’, ‘문제와 관찰’, ‘문제 찾기’, ‘발명과 사고기법’, ‘발명 문제해결’, ‘발명과 생활’ 등과 같은 7개 내용표준이 초등학교 실과의 발명교육 내용요소로서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7개 내용요소는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발명교육 내용표준 하위요소 67개 중에서 ‘발명의 의미와 개념’, ‘발명의 중요성과 가치’, ‘인류 역사와 발명’, ‘세상을 바꾼 발명품’, ‘세상을 바꾼 발명가’, ‘관찰과 발명’, ‘문제 확인 기법’, ‘발명품 문제 찾기’, ‘확산적 사고기법’, ‘수렴적 사고기법’, ‘발명 문제해결의 과정’, ‘발명 문제 확인’, ‘발명 문제 정보수집’, ‘발명 아이디어 창출’, ‘발명 아이디어 정보검색’, ‘발명 아이디어 평가’, ‘발명 아이디어 실행’, ‘발명 평가’, ‘생활 속의 발명품’, ‘지식재산의 가치’ 등과 같은 23개 하위요 소가 초등학교 실과의 발명교육 내용요소로서 타당하다.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이러한 내용요소를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content element of invention education for practical art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To accomplish this purpose, 20 expert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invention education were selected, and the survey method was performed to calculate content validity ratio.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3 content standard domains such as ‘understanding invention’, ‘problem finding’, and ‘problem solving’ among 5 domains of invention education content standard were valid. These content standard domains could be used as main frame of invention education for practical art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Secondly, 7 content standards such as ‘foundation of invention’, ‘history of invention’, ‘problem and observation’, ‘searching problem’, ‘invention and thinking skill’, ‘invention problem solving’, and ‘invention and living’ among 16 standards of invention education content standard were valid. These content standards could be utilized to design curriculum of invention education for practical art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Thirdly, 23 content standard elements such as ‘meaning and concept of invention’, ‘importance and value of invention’, ‘human history and invention’, ‘ground-breaking stuff’, ‘ground-breaking inventor’, ‘observation and invention’, ‘problem confirmation skill’, ‘problem finding of stuff’, ‘divergent thinking skill’, ‘convergent thinking skill’, ‘process of problem solving for invention’, ‘problem confirmation for invention’, ‘information gathering for invention’, ‘idea creation for invention’, ‘information searching for invention’, ‘idea evaluation for invention’, ‘idea realization for invention’, ‘assessment of invention’, ‘invention in life’, and ‘value of intellectual property’ among 67 elements of invention education content standard were valid. These content standard elemen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practical art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의 방법
IV. 연구의 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