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hands on activity through the robot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of ADH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남현욱(Nam, Hyun-wook) 이진향(Lee, Jin-hy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7권 제1호, 181~19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주의집중 과잉행동 장애를 가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작적 로봇 교육활동이 학생들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임상 전문가, 학생, 교사, 부모의 측면에서 살펴봄 으로써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특수교육 외에 로봇 교육활동을 통해서도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검증 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학부모의 동의를 얻은 ADHD 아동 4-6학년 학생 8명이다. 토요일 방과 후 로봇 교실을 조직하여 총 10 회중 사전검사, 사후검사를 각 1회, 로봇교육프로그램을 주 1회 2시간씩 8회동안 적용하여 지도하 였다. 로봇교육활동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임상전문가의 주의산만도 측정, 학부모의 문제행동 및 주의집중력 측정, 교사의 ADHD 평정척도, 아동의 주의집중력 검사 도구를 활용하 였으며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매 회기동안 실시된 임상전문가의 행동관찰 측정을 통해 ADHD 아동의 주의산만 행동이 감소하는 경향치가 나타나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모의 아동 문제 행동 체크리스트(K-CBCL)를 로봇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조사한 결과 로봇 교육이 ADHD 아동의 가정에서의 주의집중력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사의 주의력결핍 평정척도(CTRS-R) 검사를 로봇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조사한 결과, 교실에서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아동의 주의력 장애 진단시스템(ADS)을 통하여 보다 객관적으로 ADHD 아동의 주의 집중 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본 연구를 통해 로봇 교육활동은 ADHD 학생들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있었으며 이는 로봇 교육활동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제시한 것에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rge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elementary students using operational design in robots. The stud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in students with ADHD using a robot building program. The effects were judged by clinical professionals,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then be used to evaluate the potential for this program to improve concentration in ADHD students.
The students in this study of ADHD were selected by homeroom teachers and doctors after careful consideration. The student s grades ranged from grade four to six. Each student s parents also consented to the study. The study was performed over ten Saturday after-school periods. The study utilized various observers to measure the results of the student. This included clinical professionals, parents, homeroom teachers, and the students themselv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se observat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rough the observation of clinical professionals, the program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student s attentiveness.
Second,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and post analysis of the Korean Children Behavior Checklist (K-CBCL) measured the improvement of the ADHD student s attentiveness at home.
Third,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and post analysis of the revised Conners Teacher Rating Scale (CTRS-R) measured the improvement of the ADHD student s attentiveness in the classroom.
Fourth, the results from the ADHD Diagnostic System (ADS) showed that concentration had improved in ADHD students.
This study presents that this robot program has been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in ADHD studens. The robot program has proven that it has a variety of educational benefits present.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의 실제
V. 연구 결과 및 논의
VI.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