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방기혁(Bang, Gi Hyeo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1권 제4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실과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 체제를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써 실과교육 평가에 대한관련 이론을 고찰하고,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실과교육을 위한 평가 체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평가 및 교육 평가와 관련된 단행본, 연구 결과물, 연구 보고서 등을 통한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의 이론 및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과교육을 위한 평가 체제를 개발하였다.
실과교육을 위한 평가 체제는 평가의 계획, 평가 도구의 개발, 평가의 실행, 평가 결과의 활용 단계를 구분하였다. 평가의 계획 단계는 평가 목적 확인과 평가 계획 수립으로 세분화하고, 평가 도구 개발 단계는 교육과정 분석, 평가 과제 선정, 성취 기준 개발, 평가 기준 개발, 평가 도구 개발로 구분하였으며, 평가의 실행 단계는 평가의 실시, 평가 자료 수집, 평가 결과 분석으로 나누었다. 마지막으로 평가 결과의 활용 단계는 평가 결과 보고와 평가 결과 반성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평가 단계를 체계화하였으며, 평가도구 개발 단계에서 실과교육과정 분석과 목표 진술 단계를 세분화하였다. 특히 실과교육과정 분석에서는 실과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목표와 내용 체계에서 평가 과제를 선정하고, 내용과 행동으로 세분화된 평가 요소를 분석한 후, 선정된 평가 요소와 관련해서 학습자가 달성해야 할 행동에 해당하는 행동 요소를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theory of practical arts education evaluation, to develop the evaluation system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this, methods of study made use of review of literature and analysis of precedent research with technical books, the result and the report of studies related evaluation and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evaluation system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on the base of various study results developed .
Evaluation system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was consisted of 4 levels such as plan, tool development, execution, result application. Evaluation plan(Level 1) subdivided into 2 sets such as confirmation of evaluation purpos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plan. Tool development(Level 2) subdivided into analysis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statement of evaluation objectiv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Execution(Level 3) subdivided into execution, material collection, result analysis. And result application(Level 4) subdivided into result report and introspection. In addition, analysis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contained selection of evaluation task, development of evaluation component and behavior component.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contained development of achievement criteria,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making of evaluation tool.
Evaluation system developed systematically in order to apply it in elementary school.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