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that the Residential Values hav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Real Estate Investment Involvement - Focused on the Baby Boom Generations of ChangWon City Area -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하정순(Ha jeong Son) 정삼석(Chung Sam Seok) 정상철(Jeong Sang Cheol)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67輯, 183~19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세대를 대상으로 주거가치가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거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주거가치가 주거만족도와 부동산투자관여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분석방법은 빈도, 평균, 요인분석, t-test, ANOVA분석, Duncan s의 사후검정,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Cronbach s α 계수로 신뢰도 검증을 하였다.
주거가치를 살펴보면 안전지향가치, 투자지향가치, 자연지향가치, 품질지향가치, 편리성지향가치, 차별성지향가치 순으로 추구하고 있었다.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주거가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안전지향가치, 차별성지향가치의 순이었다. 안전지향가치를 추구할수록 주거만족도에 가장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차별성지향가치를 가질수록 주거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동산투자관여도에 미치는 주거가치의 영향력은 투자지향가치, 차별성지향가치, 자연지향가치의 순이었고, 투자지향가치를 추구할수록 투자관여도에 가장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차별성지향가치를 가질수록 투자관여도가 높고, 자연지향가치를 가질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targets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evaluates whether residential values vary depen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attributes. The effects that residential values hav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real estate investment involvement are also studied.
(2) RESEARCH METHOD
The analy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frequency, mean, Factor Analysis, t-test, ANOVA, post-hoc estimation(Duncan test), multiple regression,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 Cronbach s alpha coefficient was used.
(3) RESEARCH FINDINGS
The residential values listed in preferred order are safety, investment, nature, quality, convenience, and differentiation.
2. RESULTS
1. The residential values that had an effe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were safety and differentiation in preferred order. Safety had the largest positive effe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differentiation showed highest satisfaction.
2. The residential values that had an effect on real estate investment involvement were investment, differentiation and nature in preferred order. Investment value had the largest positive effect on real estate investment involvement, differentiation value had the most effect and nature value had the least effect on real estate investment involvement.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