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 Efficacy among Job Autonom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최해수(Choi, Hae-Soo)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31권 제7호, 25~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첫째, 서울에 소재하는 호텔기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조직구성원들의 직무관련 특성인 직무자율정도가 직무에 대한 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형관계를 분석하 였고, 둘째, 이들 간의 관계에 조직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자기 효능감 수준에 따라 영향 관계가 달라지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존의 매개효과분석과 조절효과분석을 통합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실증연구이다.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PROCESS Macro(Hayes, 2012)가 개발되어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많은 수월성을 가져다주었다. 연구결과 선행연구결과처럼 직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 의 효과가 존재하였고, 직무만족은 다시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가져다주었다.
게다가 자기 효능감 수준에 따라 이들 간의 영향관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매개효과를 더욱 증가시키는 유의한 정(+)의 조절된 매개효과(조건부 간접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ed mediation role of self efficacy in this mediation context, that is, in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betwee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a moderated mediation framework, the author test the model with 305 employees of 18 hotel companies. The result show that self efficac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orgnizational commitment via job satisfaction betwee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the notion that job autonomy is an anteced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 efficacy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process. To enhance mor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in the hotel organizations, it needed to strengthen on-the-job-training program on self efficac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