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ractical Teaching Competencies of Minhwa and Donghwa Classes Two Kindergarten Teachers for Children s Core Character Competenc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주용국(Joo Yong Kook) 이은화(Lee Eun Hw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12호, 509~53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유아의 핵심인성역량을 함양하는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나타나는 두 유아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유아의 핵심인성역량 함양에 보다 현장성 높은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 및 분석방법은 유아의 핵심인성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두 개의 프로그램을 2016년 6월 17일 부터 7월 19일까지 각각 6회기씩 적용한 다른 유치원 교사 2명이 수업을 진행하면서 교사 자신의 실천적 교수역량을 분석한 자기수업관찰·분석, 성찰 저널쓰기를 기록하였다. 기록한 자료를 재분석자 2명이 양적·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재분석하는 객관적인 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을 수행한 후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기반 수업을 실행한 B교사 보다 민화중심 스토리텔링 수업을 실행한 A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이 보다 우수하였다. 둘째, B교사가 수업한 동화 기반 유아핵심인성역량 수업보다 A교사가 수업한 민화중심 스토리텔링 기반 유아핵심인성역량 수업이 현장 적응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유아의 핵심인성역량인 도덕적 대인관계능력 함양에 적합한 수업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민화중심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의 회기 수를 늘려 적용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요구되며 실제로 유아에게도 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ractical teaching competencies of Minhwa(A) and Donghwa(B) classes two kindergarten teachers for children s core character competencies. A teacher was central storytelling class, and B teacher s folklore class based on the fairy tale. Two kindergarten teachers and two instructional professions were participated. For collecting data, their teaching in the classroom were videotaped, paper of instructional analysis, and they were asked to write journals. After that instructional professions with data analyzer were to reanalyze according to the practical teaching competencies criteria and reflection thinking level all of data that adop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in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folk paintings of storytelling classes to execute than teachers to launch the class based on fairy tales that b a teachers of practical teaching skills was better.
Second, than the child core character capabilities based on a fairy tale to class have class teachers B a center folks A teacher was class child core character capabilities based on storytelling classes only high adaptability was the scene. Suitable for moral interpersonal ability, core character capabilities of the child, B was higher than A.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core character capabilities of the child folktales order to foster increased the number of storytelling program center after generalized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as possible effect on the scene. Need to verify that the child to appear.
Second, a comparative study with specialist teacher of class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analysis needed.
Third, practical teaching skills composition factor analysis to establish the cause that did not appear for subsequent communication of research must be carried out need to b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