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Input- and Output-based Focus-on-form Instruction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Elementary School English Learners’ Grammatical Abil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창희(Lee Chang hee) 이상기(Lee Sang K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12호, 883~90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형태 초점 교수법의 관점에서 입력과 출력 중심의 두 가지 활동이 총 53명의 초등 영어 학습자의 문법 능력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또한 그 효과가 목표 문법 항목의 난이도와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라서는 어떻게 달라지는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살피고자 구안되었다. 이를 위하여 목표 문법 항목을 난이도가 서로 다른 두 가지로 설정하였고(과거형 -ed 와 3인칭 단수 현재형 -s), 학습자 성취 수준을 사전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상위와 하위의 두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초등 영어 학습자는 두 집단으로 나뉘어 각 처치 조건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이뤄진 수업에 총 3주, 6차시에 걸쳐 노출되었다. 실험 수업 후에는 사후 검사와 지연 사후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독립 표본 t 검정을 통해 두 종류의 활동 모두 목표 항목의 습득에 있어 집단 간 대조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사전 검사 결과 대비 사후 검사에서 우수한 수행을 보였음이 드러났다. 한편, 상위 집단과는 달리 하위 집단의 경우, 난도가 높은 3인칭 단수 현재형 -s에서 출력 중심 활동의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이는 다양한 종류의 형태 초점 교수법이 가지는 효과가 학습자의 성취 수준과 목표문법 항목의 난이도에 따라 미묘하게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wo types of focus-on-form instruction (input-based versus output-based) on the learning of two grammatical targets (the regular past tense form -ed and the third person present singular -s) by 53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e two learning targets of the study, the -ed form was considered relatively easier than the -s form based on the participants previous learning experience. The input-based group and the output-based group underwent six treatment sessions for three weeks and took the pretest, posttest, and delayed posttest.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both of the instruction types had comparable positive learning effects for both targets. It was found, however, that the facilitative effects of the two instruction types were mediated by the proficiency level of the students. That is to say, when it comes to the lower level students, the effects of the output-based instruction on their learning of the more challenging target, -s, did not last until the delayed posttest session. More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presented,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elementary English classroom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