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Forgiveness Level for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유정(Kim Yu Jeong) 유형근(Yu Hyung Keun) 정연홍(Jung Yeon H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12호, 999~101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용서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를 초등학교 고학년의 용서수준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안, 사례적용·분석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 분석, 잠정적 프로그램 구안, 타당화 작업, 최종 확정, 사례 적용, 효과 분석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선행연구와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잠정적 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수정·보완 과정을 거쳤다. 구안된 프로그램은 용서반응과 용서신념 영역에서 용서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이 포함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경기도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되었으며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통계적 효과성 검증 및 경험보고서, 관찰 내용을 토대로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용서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용서반응 영역과 용서신념 영역에서 개입을 하는 상담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egree of impact on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willingness to forgive by the group counseling programs designed toward elevating the students’ level of forgiveness.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such research objective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o devis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forgiveness level for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forgiveness level for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to compose of 29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8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for second grade of A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This study was to execute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rough six weeks for 40 minutes twice a week by devising it as total 12 session.
The interpersonal trait forgiveness scale developed by Young Hui Oh (2013) was used for both pre- and post-tests. Both pre- and post-test data points were analyzed using the mixed ANOVA method in SPSS 20.0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statistical analysis, experience reports and observations by counsellors were referenced in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rograms for subarea.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below: First, the level of forgiven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among the subarea evaluated, reaction to forgiveness and positive belief on forgivenes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the control group. In contrast, negative belief on forgivene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experience reports and observations by counsellors indicated that the counselling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level of forgiveness on the 6th grader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프로그램 구안
Ⅳ. 프로그램 효과 검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