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 STEAM program for elementary education based on history with the topic of HANSTYL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봉석(Kim Bong Se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12호, 785~80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스타일(HANSTYLE)을 소재로 하여 역사 기반 STEAM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STEAM 교육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적합한 소재 선정이 중요하다. 생활의 필요성에 의해 생겨난 전통생활문화는 생활 사례에서 과학적 원리를 탐구한다는 STEAM 교육의 학습 원리에 적합한 소재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생활문화의 대표적 브랜드인 한스타일에 주목하였다. 한스타일은 한국의 전통문화를 상징하는 브랜드로서 국가에서 지정하여 명명하였는데, 한글, 한식, 한복, 한옥, 한지, 한국음악의 6개 분야이다. 특히 한스타일은 학생들에게 친밀한 소재, 과학적인 성격, 글로벌 상품으로서의 잠재력을 가졌다는 점에서 STEAM 교육의 소재로서 적합하다. 이에 따라 한글, 한식, 한복, 한옥을 소재로 선정했는데, 2인의 교육현장 전문가 검증을 통해 수정·보완하여, 3,4,5학년별로 6차시씩, 6학년 10차시로 총 28차시의 모듈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적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먼저 교과 간 장벽 때문에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실현시킬 물리적 시공간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아울러 연대기적 통사 구조의 초등 역사교육 과정에서 주제사 중심의 구조로 전환하여 역사와 과학이 결합된 교육적인 시도를 담아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 STEAM program based on history with the topic of Hanstyle. For the educational effects of STEAM, it is important to choose an appropriate topic. From this perspective, traditional living culture that originated from the necessity of life is an appropriate topic for STEAM learning that explores scientific principles in life. In particular, this research focused on Hanstyle, which is a representative brand of Korean traditional living culture.
Hanstyle was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s a brand that represents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it consists of 6 categories, which are Hangeul, Korean food, Korean traditional clothing, Korean traditional house, Korean traditional paper and Korean music. Hanstyle is appropriate as a topic for STEAM in that it has scientific aspects as a friendly topic and potential to become global products. Six periods of curriculum were developed for 3rd, 4th and 5th graders. and ten periods were designed for 6th graders. In total, 28 periods of modular program were developed.
The following educational suggestions were mad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is program. First, it is hard to find physical space and time to realize STEAM programs due to the established barriers among curriculum, so it is required to bring our attention in this matter. Also, it is hard to conduct this kind of program in the chronological and synoptic structure of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so we need to change this into theme-focused structures and try to combine history with science for educational purposes.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 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Ⅱ. STEAM 교육 소재로서 한스타일의 적합성과 교육적 의의
Ⅲ.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Ⅳ. 초등 역사교육에서 융복합 교육의 지형과 가능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