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orean Version of the Voice Activity and Participation Profile (K-VAPP):
이용수 23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Seung Jin Lee(이승진) Hong-Shik Choi(최홍식) HyangHee Kim(김향희) Hyung Kwon Byeon(변형권) Sung-Eun Lim(임성은) Min Kyo Yang(양민교)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1. no.4, 695~70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음성 클리닉의 임상 현장에서는 환자 보고에 의한 심리측정적 평가도구가 부족하며, 활동 및 참여 측면까지 고려한 검사도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성 활동 및 참여 프로파일-한국판(K-VAPP)’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개념적 및 언어적 등가성을 위해 권고되는 절차에 따라 ‘음성 활동 및 참여 프로파일’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300명의 대상자(음성장애 환자 150명 및 대조군 150명)에게 시행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5년 이상 경력의 언어재활사 4인의 검증과 예비시행, 집단 간 점수 비교, 문항변별도 산출과 음성장애지수와의 상관관계 검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 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고, 절단점을 확인하였다. 결과: 환자군의 총점, 활동 제한 점수, 참여 제약 점수, 하위영역별 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며, 충분한 수준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갖춘 검사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총점, 활동 제한 점수, 참여 제약 점수의 절단점은 각각 14.5점, 4.5점, 1.5점이었다. 논의 및 결론: K-VAPP가 우리나라 음성장애 임상현장에서 충분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Voice Activity and Participation Profile (K-VAPP), which i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o measure activity limitation and participation restriction caused by voice disorders. Methods: The original version of the VAPP was translated into Korean to achieve conceptual and linguistic equivalence and to evaluate measurement properties. The K-VAPP was administered to 300 participants (150 with vocal complaints, 150 without vocal complaints). The instrument was evaluated with regards to its validity, reliability and cutoff scores for the total score, activity limitation score (ALS), and participation restriction score (PRS). Results: The total score, ALS, PRS, and five subscale scores of the patien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urrent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and item discrimination were satisfactory. The cutoff scores of the total score, ALS, and PRS were 14.5, 4.5, and 1.5, respectively.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Conclusion: The K-VAPP was proven to have sufficient validity and reliability to be used in Korean voice clinics and research. Further studies related to its responsiveness and various profiles with different etiologies or profession groups are need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