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ffects of Structural Priming on Complex Sentence Production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이용수 44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Bo Kyung Kim(김보경) Dongsun Yim(임동선)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1. no.4, 617~63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복문은 아동 구문 발달에 중요한 측정지표이나,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 능력은 그 다양성으로 인해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 이 연구는 구문점화 효과를 통해 살펴본 이중언어 아동의 복문 산출 능력을 살펴보고자 했다. 방법: 6-12세 이중언어 사용 아동 30명과 단일언어 사용 아동 3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모든 아동은 정상 인지능력을 지녔고, 언어능력도 정상적으로 발달하는 아동들이었다. 이들은 자발상황과 구문점화 상황에서 내포문과 접속문을 연결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결과: 단일언어 아동이 이중언어 아동보다, 연령이 높은 아동이 낮은 아동보다 높은 수행을 보였다. 모든 아동은 접속문과 구문점화 상황에서 더 높은 수행을 보였다. 두 집단에서 어휘능력이 자발상황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또한 구문점화 상황에서는 단일언어 아동은 생활연령과 비단어 따라말하기 능력이 수행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소였지만 이중언어 아동은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어휘능력이 수행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소였다. 논의 및 결론: 구문점화 효과를 통한 복문 산출 능력은 어휘력과 작업 기억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이 나타났고, 그 양상은 이중언어 아동과 단일언어 아동이 다르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Objectives: Complex sentences are important indicators in children’s syntactic development. However, measurement of complex sentence development of bilingual children is challenging because of their individual variability. In this study, a structural priming paradigm was used to probe the underlying knowledge of complex sentence production in bilinguals. Methods: Participants were 30 Korean-English bilinguals between the ages of 6 to 12 years and 30 of their typically developing Korean monolingual peers. Children were asked to connect two types of sentences (compound and embedded) under a spontaneous and a priming condition. The total number of accuracies was measured and converted into percent accuracy. Results: Monolinguals outperformed bilinguals, and older childr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younger children on producing complex sentences. Participant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in compound sentences and also showed better performance under priming condition. In both groups, the vocabulary knowledge significantly predicted production under the spontaneous condition. However, for priming condition, age and non-word repetition scores predicted performance in monolinguals whereas in bilinguals, non-word repetition scores and vocabulary knowledge predicted production under priming condition. Conclusion: Complex sentence production is associated with vocabulary size and working memory capacity. Monolinguals and bilinguals differ in sentence production ability, with bilinguals relying more on vocabulary knowledge than monolingual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