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Specificity of Syllabu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미자(Oh Mi J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11호, 29~4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업계획서의 구체성에 대해 교수와 학생이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6개 대학의 수업계획서를 분석하여 8개 대분류와 36개 소분류로 구성 요소를 분류하였다. 설문은 8개 대분류 영역 중 수업 진행 정보(시간, 교과목명, 교수자명 등), 교재, 기타 사항 등 3가지를 제외하고, 5개 영역에 대한 구체성(교과목 정보, 수업 목표 및 내용, 수업 방법, 과제, 평가방법)에 대해 교수와 학생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은 학생 11,114명, 교수 81명에 답한 내용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학생은 5가지 영역 모두 평균 4점대로 나타나 모든 영역에서 수업계획서가 구체적으로 작성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의 경우 5가지 영역 중 2가지 영역인 교과목 정보와 평가 방법의 구체성에서만 평균 4점대를 보여 학생과 교수의 인식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계획서를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것’에 대한 개방형 설문 결과 개선 사항으로 ‘수업계획서에 대한 교수의 인식 변화’, ‘선 이수과목’, ‘비연관전공자 수강가능 여부 표시를 위한 시스템 변경’, ‘주기적 수업계획서 업데이트 가능’을 필요성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the specificity of syllabu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To examine how much they think it important to prepare syllabu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syllabus from six colleges, classifying components of syllabus into eight categories and 36 sub-categori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professors and students about the specificity of five categories, including course information, lesson objectives and contents, lesson methods, assignments, and assessment methods. From the eight categories, the survey excluded three categories, such as lesson procedure information (time, course name, teacher’s name), teaching materials, and other matters. As a result of analyzing responses from 11,114 students and 81 professors, it was found that students scored an average of 4 points in all the five areas, which showed they thought it important to prepare syllabus specifically. Professors scored an average of 4 points in only two areas, which show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Also, as a result of performing an open questionnaire survey about preparing syllabus specifically, three suggestions were made for improvement: i) professors’ perceptions of syllabus be changed, ii) system be changed to indicate prerequisites and whether students of unrelated majors can register for the course, and iii) syllabus need to be updated periodicall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내용
Ⅲ.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