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Exercise Status and the Role of the Teacher Educat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재정(Park Jae 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11호, 783~81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1.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구체적인 운동수행 실태와 운동수행에 필요한 개선점 및 요구를 확인하여 교사교육자의 역할 방향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람대학교 초등 예비교사 4학년 131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2016년 6월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한 내용분석 결과 운동수행은 ‘가끔 한다.’, ‘꾸준히 한다.’, ‘하지 않는다.’로 범주화 되었고, 운동을 하는 이유는 ‘심동적 필요성’, ‘정의적 필요성’, ‘인지적 필요성’으로 분류되었으며, 운동을 하지 않는 이유는 ‘내적 의지 요인’, ‘외적 환경 요인’, ‘내적 인식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운동을 꾸준히 하기 위해서는 ‘운동 시설 개선’, ‘인식과 실천력 개선’, ‘운동 프로그램개선’, ‘교육과정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으로 범주화 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교사교육자의 역할 방향은 운동관련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는 적극적 역할, 다양한 동아리 활동과 운동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안내하는 조장적 역할, 운동을 직접 실천하며 교사로서 학생들의 본보기가 되는 잠재적 역할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eck the specific exercise statu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the way to improve the exercise status and to find the role of the teacher educator. I asked 131 students of Cheongram University in their 4th grade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respondents to the questions provided in open type questionnaires and collected the answers. I analyzed the results through 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 When they were asked about the exercise status, they responded that they ‘did exercise often(50 people, 38.17%)’, ‘did exercise continuously(43 people, 32.82%)’ and ‘didn’t exercise(38 people, 29.01%).’ When they were asked why they did exercise, they responded that they did it because of ‘psychomotor necessity(63, 59.43%)’, ‘affective necessity(33, 31.13%)’ and ‘cognitive necessity(10, 9.44%).’ When they were asked why they didn’t exercise, they responded that they didn’t do it because of ‘internal willingness factor(92, 44.66%)’, ‘external environment factor(77, 37.38%)’ and ‘internal recognition factor(37, 17.96).’ When they were asked what could help them to exercise continuously, they responde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exercising facilities(138, 42.86%)’, ‘improve the recognition and practice(92, 28.5%)’, ‘improve exercising programs(87, 27.02%)’ and ‘improve the curriculum(5, 1.55%).’ Based on the study result, the roles of the teacher educator were suggested to include active role, leading role and potential rol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