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conceptualization of learning in social studies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기범(Park Kee Bur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11호, 553~56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통적 심리학과 철학에 기반 한 사회과 학습관에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시론적 연구이다.
21세기 사회과교육은 새로운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융통성 있는 시민을 육성해야한다. 융통성 있는 시민은 상황을 유연하게 볼 수 있는 상황의 스키마를 형성하는 시민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회과교육은 학습의 내면화와 지식의 기억이라는 전통적인 학습의 패러다임에서 탈피하여, 문제 상황에 적합한 지식을 연결하여 상황마다 효과적인 지식체를 구성하는 운영(operating), 연결(connection), 해체의 과정으로 학습의 재개념화가 필요가 있다. 즉 내면화에서 탈내면화로, 기억에서 연결로 학습의 개념을 확장시켜야 한다. 사회과교육은 학습의 결과를 기억해야한다는 강박관념으로부터 학습자를 자유롭게 하고, 직면하는 문제 상황을 맥락적으로 해석하고 도전적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창의적 시민성의 함양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영문 초록
An Exploratory Study This study is to explore new conception about traditional conception of learning based on the psychology and philosoph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Objectivism and constructivism has the unique distinction.
However, they share a common perspective in terms of personal internalization of learning. It also highlights the results obtained in the course of the educational activity.
21st century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foster citizen that can adequately cope with the new era.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move away from the traditional paradigm perspective like a internalization of learning and a memory of knowledge.
The re-conceptualization of learning focuses on connection of the appropriate knowledge in problem situations. Furthermore, In the re-conceptualization of learning learner is free from obsessive to remember learning outcomes.
Facing problem situations, learner should have a creative citizenship that is contextual understanding and considering a challenging wa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전통적 학습관과 사회과 학습의 재개념화
Ⅲ.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