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practices and teachers’ perception of rough and tumble play in preschools in South Korea and Chin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화(Jin Hua)(金花) 나귀옥(Nah Kwi 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11호, 655~68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거친 놀이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의 경우, 유아들은 실내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교실 내 흥미영역에서, 중국은 실외놀이시간에 실외 잔디밭이나 바깥놀이터에서 거친 놀이를 많이 하였으며, 실내 및 실외에서 한국과 중국의 유아 모두 쫓고 쫓기는 거친 놀이를 많이 하였다. 한국의 교사가 거친 놀이에 대한 허용 및 참여 정도가 더 낮았으며, 한국과 중국의 교사 모두 실외놀이시간에 거친 놀이를 할 때 가장 허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한국의 교사는 거친 놀이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았고, 중국 교사는 더 필요하고 가치 있는 놀이로 인식하였다. 한국의 교사는 전쟁놀이를, 중국의 교사는 잡기놀이를 거친 놀이와 가장 유사한 놀이로 인식하였으며, 한국과 중국의 교사 모두 공격성이 높은 유아가 거친 놀이를 많이 한다고 인식하였고, 안전에 대한 우려가 거친 놀이를 허용하는데 어려운 점이라고 인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rough and tumble play occurred and how the teachers perceived about the rough an tumble play in preschools in South Korea and China. Questionnaires were answered by 410 preschool teachers(202 in South Korea, 208 in China) and analysed.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in South Korea did rough and tumble play during free choice activities in learning centers indoors mostly while children in China did rough and tumble play during outdoor play in grass areas or playgrounds. Children in both countries did ‘chasing’ play mainly indoors and outdoors. Chinese teachers were more permissive and more involved in rough and tumble play, and teachers in both countries allowed rough and tumble play most in grass areas or playground outdoors.
Korean teachers were interested in rough and tumble play more than Chinese teachers, and Chinese teachers perceived rough and tumble play more valuable and necessary than Korean teachers. Korean teachers perceived soldier play most similar to rough and tumble play while Chinese teachers tag play most similar to rough and tumble play. Teachers in both countries perceived that aggressive children do more rough and tumble play, and perceived safety concerns as barriers for rough and tumble pla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