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application of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o private kindergarten teach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곽윤숙(Kwag Yoon S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11호, 631~65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1.30

국문 초록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교육의 질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는 2012년부터 국·공립 유치원 교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2017년부터 사립 유치원 교원들에게도 확대될 예정이다.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초·중등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틀 안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유치원 교육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어 왔다. 이에 더하여 국·공립 유치원와 사립 유치원 교사의 직업적 지위에 있어 큰 간극이 있고 지금까지 국·공립 유치원과 사립 유치원교사가 경험한 교원평가는 큰 차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사립 유치원 교사들에게 적용하는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유치원 교사의 직무와 그에 따른 전문성은 초·중등 교사와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내용도 다르게 구성되어야 하며, 승진, 성과급 등과 같은 외재적 보상을 지양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사립 유치원 교사들에게 평가결과에 따른 보상 및 지원체제가 제공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application of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o private kindergarten teacher critically. The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n public kindergarten teacher have been accomplished since 2012, the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will expand to private kindergarten teacher from 2017.
Many prescedent studies pointed that the kindergarten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made in context of primary·secondary teacher evaluation system is lack of specialty of kindergarten. Although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 is concerned with both education and care, the criteria concerning care is not included in evaluation criteria of kindergarten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ppropiate to kindergarten teacher.
In other hand, the gap of occupational status and difference experience on teacher evaluation between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pplying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o private kindergarten teacher. In contrast to public kindergarten teacher experienced teacher evaluation not only external rewards but also interal rewards,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 is directed not external reward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 of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o private kindergarten teacher, another type of reward and support system must be provid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우리나라 교원평가제와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Ⅲ.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사립유치원 적용 가능성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R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