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ragmatic Competence of Korean EFL Learners : An Analysis of Interlanguage Pragmatics in the Speech Act of Complaining
이용수 22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Yin, Judy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11호, 1115~113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1.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영어학습자의 불평화행(the communicative act of complaining)의 화용 능력을 살펴보고 불평 화행에서 원어민과 비원어민의 의미공식(semantic formula)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13명의 참여자들에게 담화역할극과제(Discourse Role-Play Task): DRPT) 를 사용하여 불평을 요구하는 7개의 상황을 제시하고 역할극을 통해 불평 화행을 살펴보았다. 또한 제시된 상황에서 참여자들이 실제로 불평을 할 것인지를 파악하여 화용 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로 보았다. 연구 결과에서 원어민과 비원어민의 불평화행에서 의미공식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비원어민의 영어 발화에서 예의전략(politeness strategies)에 대한 과민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원어민이 사용하지 않는 의미 공식을 사용하여 불평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실제 상황에서는 불평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이러한 차이점이 나타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연구의 결론으로 연구결과가 보여주는 경향과 교수학습 제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agmatic competence of Korean EFL learners in the communicative act of complaining. This study attempt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Native Speakers (NS) and Non-Native Speakers (NNS) in terms of their use of semantic formula when carrying out the speech act of complaining.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choice for carrying out or opting out the actual act of complaining was considered as an influential factor that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ir pragmatic competence. Lastly, Native Korean Speakers (NKS) were also included in the study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L1 influences. 13 participants (2 NS, 7 NNS, 4 NKS) participated in Discourse Role-Play Tasks (DRPT) which included 7 situations where they had to formulate a complaint. Furthermore, they were to specify whether they would opt out or carry out the actual complaint in authentic situ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NS and NNS differed in terms of their use of semantic formula. For instance, NNS were shown to be overly sensitive to politeness strategies in addition to using a wide range of semantic formulae that characterize their complaints as indirect. Moreover, their choices and reasons for opting out were shown to be influential in their final oral product. Related conclusive remarks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RELATED STUDIES
Ⅲ. METHODOLOGY
Ⅳ. RESULTS & DISCUSSION
Ⅴ. CONCLUSION AND PEDAGOGICAL IMPLICATION
REFERE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