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the Behaviors of Soil Water Characteristic Sensors through Rainfall-Induced Landslide Flume Experiment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동엽(Kim, Dongyeob) 서준표(Seo, Junpyo) 이창우(Lee, Changwoo) 우충식(Woo, Choongshi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6권6호, 209~21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1.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강우 기반 산사태 모의실험을 통하여 산사태 조기경보용 감지 센서의 반응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에서 산사태 조기경보시스템 설치 시의 고려사항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산사태 감지 센서로서 토양수분센서와
텐시오미터를 선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산사태 붕괴시뮬레이터에 표준사와 벤토나이트를 혼합하여 토층을 형성하고 강우강도 및 벤토나이트 혼합비를 달리하여 총 6회의 인공강우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토양수분센서와 텐시오미터는 대부분의 실험에서 특정값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시간에 따른 변화 속도는 센서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사태 조기경보를 위해서 서로의 반응특성을 보완할 수 있는 토양수분센서와 텐시오미터가 함께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sensors for landslide early warning through rainfall-induced landslide flume experiments and discuss the considerations on field installation of a landslide early warning system. Soil water content sensor and tensiometer were employed as landslide detecting sensors and total six artificial rainfall experiments using a flume with soil layer made of experimental standard sand and bentonite were carried out with a variation of rainfall intensity and bentonite content. As a result, soil water content sensor and tensiometer tended to read to a certain converged value, but the temporal responding velocity appeared to be different each other. I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two different sensors can be used together to complement response characteristics of each other.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