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linical Manifestations and Prognosis of Patient with Traumatic Optic Neuropath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신광래(Gwang Rae Shin) 김대현(Dae Hyu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7,number11, 1770~1776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1.30

국문 초록
목적: 외상시신경병증의 원인, 동반손상 등의 임상양상과 치료방법 및 예후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8년 4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외상시신경병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 55명을 대상으로 외상원인, 시력저하 정도, 시야결손형태, 치료방법 및 시력예후 등을 의무기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두개안면부 영상검사를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두개 내출혈유무, 두개안면부골절유무 등을 분석하였고, 출혈유무, 골절부위에 따른 시력저하 정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시력손상 후 감각사시의 발생 여부도 알아보았다.
결과: 전체 외상시신경병증 환자 55명 57안의 외상원인은 교통사고가 가장 많았다. 시력저하 정도는 0.1 미만의 심한 시력저하를 보이는 환자가 60% 이상이었고, 이는 최종 경과관찰 때까지 지속되었다. 시야결손은 하측반맹 등의 수평시야결손이 많았고 주변부 위축, 중심암점 등의 형태로 나타났다. 두개내출혈은 환자의 52.4%에서 동반되었고 두개안면부골절은 90.5%로 대부분 환자에서 동반되었다. 또한 두개안면부골절환자가 안와후부골절을 동반하면 초기시력이 좋지 않았다. 고용량스테로이드 정맥주사 등의 치료는 시력예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감각사시는 초기시력이 좋지 않고(p=0.007), 나이가 어린 경우에 잘 발생하였다(p<0.001).
결론: 국내 외상시신경병증은 초시시력저하가 심했고 시력예후도 좋지 않았다. 또한 고용량스테로이드 정맥주사 등의 치료는 시력 개선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1):1770-1776>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management, ophthalmologic complications, and prognosis of traumatic optic neuropathy.
Methods: A retrospective survey of 55 patients who visited Chosun Hospital from April 2009 to February 2016 was performed. The sex, age, causes, fracture characteristics, neurologic injury, and combined craniofacial bone fractures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traumatic optic neuropath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lso, we investigated the rate of visual impairment in the patients with intracranial hemorrhaging and craniofacial fracture on radiologic examination and development of sensory strabismus.
Results: Traffic accidents were the most common cause of traumatic optic neuropathy. Among the patients, more than 60% showed severe visual impairment of less than 0.1 that lasted until the final observation. Altitudinal visual defects were the most common visual field defect and presented as marginal atrophy and central scotoma. While intracranial hemorrhaging was showed in 52.4% of the patients, craniofacial fracture was observed in 90.5% of the patients. The initial visual acuity was decreased when the patient presented with orbital fracture located in the retrobulbar area. Intravenous high-dose steroid injection did not affect visual prognosis. Sensory strabismus occurred more commonly under conditions of poor initial vision (p = 0.007) or young age (p < 0.001).
Conclusions: Traumatic optic neuropathy in Korea has a high rate of initial visual impairment with poor prognosis of vision. In addition, high-dose intravenous steroid injection did not result in visual improvem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1):1770-1776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