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hort-term Effectiveness of Intravitreal Triamcinolone Injection for Refractory Macular Edema Secondary to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안현민(Hyun Min Ahn) 최경섭(Kyoung Sub Choi)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7,number11, 1731~173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1.30

국문 초록
목적: 분지망막정맥폐쇄에서 유리체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에 반응하지 않는 불응성 황반부종에 대한 치료로 유리체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분지망막정맥폐쇄로 인한 황반부종으로 진단 받고 2회 이상 매달 연속된 유리체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유리체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을 시행 받은 23명 23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트리암시놀론 주입술 전과 주입술 후 1개월, 3개월째 최대교정시력 및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상 소견을 분석 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들은 평균 3.4 ± 1.2회의 유리체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시행 받았다. 유리체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은 마지막 유리 체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시행 후 평균 4.3 ± 1.7주 뒤 시행되었다. 최대교정시력(logarithm of the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은 치료 전 0.61 ± 0.45에서 치료 1개월 후 logMAR 0.52 ± 0.35, 3개월 후 logMAR 0.58 ± 0.37로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p=0.114, 0.412). 그러나 8안(34.8%)에서 3줄 이상의 시력호전을 보였으며, 4안(17.4%)에서는 2 줄 이하의 안정적인 시력 호전을 보였다. OCT 상 중심와두께(central foveal thichness, CFT)는 치료 전 512 ± 166 μm에서 치료 후 한 달째 310 ± 139 μm, 3개월째 324 ± 159 μ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p=0.014, 0.031).
결론: 분지망막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에서 유리체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은 유리체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에 반응하지 않는 일부 환자에 있어 최대교정시력과 중심와두께에 호전 소견을 보였으며 하나의 치료적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1):1731-1737>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short-term efficacy of intravitreal triamcinolone (IVTA) injection for the treatment of macular edema secondary to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BRVO) refractory to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s.
Methods: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cluded 23 eyes of 23 patients with macular edema secondary to BRVO. The patients with macular edema unresponsive to 2 or more consecutive monthly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s were treated with IVTA.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nd central foveal thickness (CFT) based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ere evaluated before IVTA and 1 month and 3 months after IVTA injections.
Results: All patients were previously treated with 3.4 ± 1.2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s. The IVTA injection was performed at 4.3 ± 1.7 weeks after the last bevacizumab injection. The logarithm of the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 MAR) BCVA was also decreased from 0.61 ± 0.45 to 0.52 ± 0.35 after 1 month and to 0.58 ± 0.37 after 3 months of IVTA, although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114 and 0.412, respectively). Eight eyes (34.8%) showed more than 3 lines improvement of BCVA and 4 eyes (17.4%) showed stable BCVA increasing 2 lines or less. CFT wa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512 ± 166 μm to 310 ± 139 μm after 1 month and to 324 ± 159 μm after 3 months of IVTA injections (p = 0.014 and 0.031, respectively).
Conclusions: IVTA was beneficial in some patients with macular edema secondary to BRVO refractory to intravitreal bevacizumab therapy. This study indicates that IVTA could be considered as a treatment option for refractory macular edema associated with BRVO.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1):1731-1737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