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hotograph in Printed Newspaper and Internet Newspaper on Audience s Memory : Focused on Audience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박덕춘(Park, Dugchun)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7권 1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쇄신문과 인터넷 신문에서 사진이 이용자의 재인기억과 회상기 억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총 135명의 대학생으로 구성된 4개의 피험자 집단은 각기 다르게 처치된 조선일보 뉴스 기사에 노출되었으 며, 노출 직후 설문에 응답하였다.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인쇄신문 이용자가 인터넷 신문 이용자보다 재인기억, 보조회상기억, 자유회상기억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진이 없는 신문 이용자가 사진이 있는 신문 이용자보다 재인기억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사진이 보조회상기억과 자유회상기억에 미치는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신문 매체에서 사진이 이용자의 기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이 인쇄신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서로 상반된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신문 사진의 이용자 효과 연구를 인터넷 신문으로 그 영역을 확대하여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photographs of printed newspaper and internet newspaper on the recognition and recall memory of audience. Four experimental groups composed by 135 university students were exposed to each treated newspaper of two Chosunilbo items about earthquake and thereafter they responded to written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research showed that those who read printed newspaper showed better recognition and recall memory than those who read internet newspaper. And the negative effect of photograph on recognition memory was found, but effect of photograph on recall memory was not found.
Existing researches about the effect of newspaper photograph stayed within the range of printed newspaper, with conflicting results, However this experiment research expanded the research range to internet newspaper.
목차
1. 문제 제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