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formance Assessment of visual Contents Education : Focusing on the Case of Media Arts High School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정영호(Jung, Young Ho) 김무규(Kim, Moo Kyu)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10권 1호, 221~24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영화영상을 전공하고 현재 영상 특성화고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들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수행평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공교육 차원에서 영상 콘텐츠의 실효성 있는 교육을 위해 수행평가의 도입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수행평가와 유사한 주제의 연구들은 교육과정이나 교육만족도 혹은 시설조건 등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영상미디어 교육과정 자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를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교육에서 평가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특히 미디어 콘텐츠 교육의 경우처럼 제작과 같은 수행적 의미가 강한 교육에서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학교 내의 실상과 교사들의 심정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심층면접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수행평가의 특성과 활용은 단순하게 파악될 수 없고, 그것은 지역성,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장비의 구비현황이나 특히 교사의 교육관에 따라 다르게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다양하고 지속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 evaluation method especially in Media Arts High Schools. The performance assessment is one of the key factors which guarantee the successful education in the field of the visual contents. In order to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is study makes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teachers who are specialized in the visual contents education in Media Arts High Schools. It was shown that the teachers have still difficulty in conduct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various reasons. For example, they require more autonomy and flexibility in making their own decisions. And they feel keenly the necessity of the national textbook which can supports the objective evaluation. Nevertheless it turns out to be that they make the creative attempts and try the various concrete methods to carry out the successful performance assessment.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