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Between PR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Ratings of Lively Broadcasted TV Sports Programs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홍문기(Hong, Moon Ki) 황영찬(Hwang, Young Chan)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11권 1호, 147~17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온·오프라인 PR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지난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생중계 방송시청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봤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소치 동계 올림픽 스포츠 경기를 생중계했던 방송사들 중 별도의 온·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추진한 방송사의 생중계 방송 시청률과 그렇지 않은 방송사의 시청률을 비교·분석했다. 조직(방송사)-공중(시청자) 간의 온·오프라인 PR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공중관계성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 조직(방송사)-공중(시청자) 간의 공중관계성 형성을 위한 PR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한 방송사의 생중계 방송 시청률이 그렇지 않은 방송사의 시청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연구자들은 한국 경기에 대한 시청자 응원 확대와 PR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트위터 버즈량(트위터 등 SNS를 통해 확산된 특정 메시지 전달 빈도의 통계적 산술값)의 변화와 이 버즈량의 변화가 시청률 경쟁 상황에서 형성한 공중관계성의 의미·가치 등에 대해 논의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current researchers studied the effects of Online and offline PR communication activities on the live TV coverage ratings of sports programs. To explore the effects of Online and offline PR communication activities, the current researchers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s (broadcasting companies) and publics (people who watch the live TV coverage of sports programs, especially).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reviews and studies related to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this study analyzed the ratings of live sports events coverage and the variations of online buzz. Regarding the live TV coverage ratings, finally, this study discovered the positive relationships due to the effects of Online and offline PR communication activities. Related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re added to encourage future studies relying on the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and ratings.
목차
1. 서론
2. 공중관계성과 시청률
3. 소셜미디어와 시청률
4. 연구문제
5. 연구방법
6. 연구결과
7.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