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국제온돌학회
- 저자명
- 펑티엔쉐 김준봉
- 간행물 정보
- 『International Journal of Ondol』2013, 1~5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공학 > 건축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0

국문 초록
온돌은 동북지방주거에서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약 2천 년 남짓 유구한 역사 동안, 독특한 온돌양식과 온돌문화를 형성하였으며, 아파트온돌, 라지에이터, 공기조화 난방 등으로 발전하였다, 온돌은 동북 대가족 문화의 주요한 요소일 뿐 만 아니라, 농가의 공간형성과 구축에도 중요한 단서이다. 온돌은 자연형 에너지사용으로 고효율 방식이다. 전통의 온돌-일반적으로 흙 벽돌과 벽돌을 쌓아서 만들고, 음식을 할 때 사용되는 그 여열을 통해 외부와 연결된 부뚜막을 통해 내부와 연결된 고래가 있는 방구들을 지나 굴뚝으로 열을 전달한다. 오늘날 동북의 신농촌은 아주 빠른 건설개발단계에 있다. 기술의 발전과 관념의 변화에 따라, 사람들은 전통온돌을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시도들을 선보이고 있다. 새로운 온돌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뜬바닥온돌,에너지절약온돌 등.) 신형온돌은 전통온돌의 모든 기능을 계승할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발전의 요구와도 맞는다. 즉 전통문화에 현대적 기술을 결합한 형태이다. 본 논문은 동북지역농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온돌의 내포된 함의, 형식과 종류, 난방방식 및 기타 신형 온돌의 발전과 변천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영문 초록
목차
개요
1. 온돌의 기원, 동북농가에서의 온돌의 기능과 의의
2. 전통온돌의 문제점 분석
3. 결론
참고서적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