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Anterior Chamber Depth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Measured Using Different Device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정재균(Jae Gyun Jeung) 길태영(Tae Young Gil) 배지현(Gi Hyun Bae) 신승주(Seong Joo Shin) 정성근(Sung Kun Chung)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7,number10, 1570~1576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0.30

국문 초록
목적: 세 기기들을 이용하여 앞방깊이를 측정하고, 네 기기들을 이용하여 중심각막두께를 측정하여 각 기기 간의 정확성 및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건강한 성인 90명의 180안을 대상으로 A-scan, Lenstar LS900Ⓡ, PentacamⓇ을 이용하여 앞방깊이를 측정하였고, 초음파 각막두께측정기, Lenstar LS900Ⓡ, PentacamⓇ,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계를 이용하여 중심각막두께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Lenstar LS900Ⓡ A-scan, PentacamⓇ을 이용하여 측정한 앞방깊이는 각각 3.27 ± 0.36 mm, 3.26 ± 0.36 mm, 3.25 ± 0.36 mm였고, 측정치 간에 유의하게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17). Bland Altman plot으로 분석한 일치도는 높지 않았다. 중심각막두께는 PentacamⓇ, 초음파 각막두께 측정계, Lenstar LS900Ⓡ,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계에서 각각 553.31 ± 25.23 μm, 547.26 ± 23.83 μm, 541.38 ± 24.49 μm, 531.40 ±22.33 μm로 측정치 간에 유의하게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Bland Altman plot으로 분석한 일치도는 높지 않았다.
결론: 여러 가지 기기로 측정한 앞방깊이 및 중심각막두께는 모두 상관성은 높으며, 앞방깊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심각막두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치도는 두 군에서 모두 높지 않았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0):1570-1576>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accuracy and clinical usefulness of different devices by measuring anterior chamber depth (ACD) with three devices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with four devices.
Methods: In 180 eyes of 90 healthy subjects, ACD was measured using A-scan, Lenstar LS900??, Pentacam??, and CCT was measured using ultrasound pachymetry (USP), Lenstar LS900??, Pentacam??, and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Results: The average ACT measurements using Lenstar LS900??, A-scan, and Pentacam?? were 3.27 ± 0.35 mm, 3.26 ± 0.36 mm, and 3.25 ± 0.36 mm, respectively. The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 < 0.001) but with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7). The Bland-Altman plots showed a low degree of agreement. The average CCT measurements using Pentacam??, USP, Lenstar LS900??, and OCT were 553.31 ± 25.23 μm, 547.26 ± 23.83 μm, 541.38 ± 24.49 μm, and 531.40 ± 22.33 μm, respectively. The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 < 0.001)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The Bland-Altman plots showed a low degree of agreement.
Conclusions: ACD and CCT measured using different devices were highly correlated, but the ACD measurement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however, the CCT measurement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nd agreement was low between both measurements.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0):1570-1576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