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tility of the Swept 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or Measurements of Central Corneal Thicknes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임규(Im Gyu Kim) 이종은(Chong Eun Lee) 이준석(Jun Seok Lee) 서 샘(Sam Seo) 이규원(Kyoo Won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7,number10, 1542~154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0.30

국문 초록
목적: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swept 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S-OCT)로 측정한 중심각막두께를 초음파 각막두께측정계(ultrasound pachymetry), Orbscan II,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계(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S-OCT)로 측정한 중심각막두께와 비교하여 SS-OCT의 임상적 일치율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한 명의 검사자가 65명 65안의 정상안을 대상으로 Orbscan II, AS-OCT, SS-OCT, 초음파 각막두께측정계의 순서로 중심각막두께를 측정하여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Orbscan II, AS-OCT, SS-OCT와 초음파 각막두께측정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각각의 평균 중심각막두께는 각각 534.83 ±38.46, 517.80 ± 32.48, 528.22 ± 33.71, 528.02 ± 34.90 μm였다. 4가지 검사기기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894,
p<0.001 in all groups), SS-OCT와 초음파 각막두께측정계를 이용한 측정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일치율을 보였다(p=0.782).
결론: 정상인에서 SS-OCT로 측정한 중심각막두께가 초음파 각막두께측정계로 측정한 값에 높은 일치율을 보여, 정상인의 중심각막두께 측정에 SS-OCT가 초음파 각막두께측정계를 대체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0):1542-1548>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wept 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S-OCT)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of 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to the measurement obtained using Orbscan II,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S-OCT) and ultrasound pachymetry.
Methods: One examiner measured the CCT in 65 eyes of 65 healthy subjects using Orbscan II, AS-OCT, SS-OCT and ultrasound pachymetry. The mean values and correl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CCT measurements obtained using Orbscan II, AS-OCT, SS-OCT and ultrasound pachymetry were 534.83 ± 38.46, 517.80 ± 32.48, 528.22 ± 33.71 and 528.02 ± 34.90 μm, respectively. A significant linear correlation was observed among Orbscan II, AS-OCT, SS-OCT and ultrasound pachymetry (r > 0.894, p < 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S-OCT and ultrasound pachymetry (p = 0.782).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4 method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nd the SS-OCT reached a high level of agreement when CCT was determined using ultrasound pachymetry. The CCT measurements using SS-OCT is a better alternative for ultrasound pachymetry than Orbscan II and AS-OCT.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0):1542-1548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