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Qualitative Analysis on Facilitating Factors and Conflicting Factors of Learning through Social Media
이용수 7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Park, Sunhee(박선희) Kim, Sungmi(김성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10호, 1139~115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중 하나인 페이스북을 활용한 학습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대학교교양 수업(2011년 2학기)과 전공 수업(2012년 1학기)에서 페이스북을 활용하여 수업을 시행하였고, 수업은 강의와 그룹 발표가 있는 오프라인과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온라인이 병행되는 블렌디드 학습으로 진행되었다. 성찰일지, 인터뷰, 참여관찰의 질적 분석으로 학습 촉진 요인과 저해 요인 도출하였다. 소셜 미디어 활용의 촉진 요인은 즉시적인 연결 증대, 여러 학습 주체와 친밀감 확장, 멀티미디어 중심의 실제적 과제 제시, 단문 댓글 활동을 통한 브레인스토밍 기회 증가,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상호작용 유도, 신기술에 대한 호
기심 유발 등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학습 저해 요인은 정보 검색, 업로드, 저장, 수정 시 불편함, 미디어간 연동으로 인한 불필요한 정보 소음 증가, 타인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한 상호작용의 비활성화, 사생활 침해 불편, 책임 회피, 신기술에 대한 낯섦과 거부감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자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수업을 운영하고자 할 경우 학습의 촉
진 요인과 저해 요인을 고려하여 교수설계 전략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learning using Facebook, one of the social media. After designing and completing the liberal arts(2nd semester in 2011) and major courses(1st semester in 2012) in college using Facebook, the researcher derived the facilitating factors and conflicting factors through an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s’ learning logs,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classroom observation The classes for the present research was proceeded as a type of blended learning, consisting of offline classroom learning with lectures and group presentations, and online learning using social media. In this research facilitating factors of learning through social media offers to increase immediate connection, to identify extended intimacy, to suggest multimedia based practical
tasks, to provide more opportunity brain storming through text and feedback message, consistently to facilitate positive interaction, to stimulate curiosity about new technology. On the other hands, conflicting factors have included in inconvenience of searching, uploading, saving, and editing the information, increase in unnecessary information noise from linkage between media, deactivation in interaction with a lack of information of other person, a feeling of
discomfort from privacy infringement, avoidance of responsibility, unfamiliarity and resistance toward the new technology.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instructional design of learning through social medi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