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vestigation of Sea Water Intrusion Length on Opening of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Using Numerical Simulat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도훈(Kim Do Hoon) 박홍범(Park Hong Bum) 박상길(Park Sang Kil)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6권5호, 299~30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MIKE21 Model을 이용하여 낙동강 하구의 조위 분포와 상류의 유입유량에 따른 해수침투길이를 산정한 것이다. 감조하천에서 염수쐐기의 거동은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의 수질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환경부가 규정한 염분농도는 생활용수 0.5 psu 공업용수 0.3 psu이다. 이 수치를 유지하기 위해, 1987년에 낙동강 하구둑을 축조하여 해수의 침입을 수문으로 차단시켰다. 이로 인해 일정구간에 수질악화와 생태계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부산시는 낙동강 하구에서 상류 6 km까지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기수역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복원계획을 수립하여 발표하였다. 즉, 생태계의 복원을 위해 하구둑 직 상류 6 km까지 염수가 유입되는 기수역을 조성시켜는 계획을 세웠다. 본 연구는 염수침입길이를 계산한 결과를 제안하여 기수역 복원계획에 필요한 조건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length of seawater intrusion is calculated from the tidal distribution and inlet upstream flow of the Nakdong River using MIKE21 Model. The rising behavior of the salt wedge in the estuary is affecting for the quality of life Water, industrial water, agricultural water. The value salt concentration regulation of Ministry of Environment was set for living water 0.5 psu and Busan City was set for industrial water 0.3 psu. To maintain this values, the Nakdong River of Estuary Barrage(NREB) in 1987 was constructed, it was blocked the intrusion of seawater by floodgates. Construction of NREB has brought a change in water quality and ecosystem deterioration in a certain region. Busan City has announced to establish a restoration plan for the conversion into the mixing area(Brackish Water Zone : BWZ) of salt and fresh water from NREB to upstream 6km. In other words, it was set a plan of the composition 6km mixing zone that salt water flows directly to the barrage upstream in order to restore the ecosystem. The study clearly identify this corresponds a minimum flow rate and tidal level conditions to generate a saltwater intrusion and to propose a penetration length of saline provides the specification requirement for of restore plan.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낙동강 상류 주요 취수시설과 공급지역
3. 염분도 수치모델링
4. 염분침투 길이 계산결과분석
5. 결론
Acknowledgmen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