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Debris Flow Disaster Area Using Terrestrial LiDAR and Kanako-2D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영환(Kim Young Hwan) 전계원(Jun KyeWon) 전병희(Jun Byong Hee)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6권5호, 113~11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0.30

국문 초록
토석류 재해규모의 예측이나 효과적인 사방 구조물의 검토에 있어 토석류 수치모형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 7월 토석류 피해가 발생한 충북 제천지역을 대상으로 사방댐 설치 전·후에 따른 토석류의 유동특성과 피해범위를 산정하기 위해 토석류 수치모형인 Kanako-2D모형을 적용하였다. 먼저 토석류 발생 전·후의 수치지도와 지상 LiDAR 측정자료를 이용하여 수치모의를 위한 기본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Kanako-2D모형을 적용하여 사방댐 설치 전· 후의 피해범위를 분석한 결과 사방댐 설치 전 11,232 ㎡에 해당하는 면적에 토석류 피해가 발생하였으나 최대유동심 발생구간에 사방댐 설치 후에는 사방댐 설치 전에 비해 약 19% 저감된 9,160 ㎡의 면적에 피해가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In the prediction of the scale of disaster from debris flow and the effective review of debris barrier, the numerical model of debris flow is very important. This study targeted Jecheon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which was hit by debris flow in July, 2009, an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debris barrier or not and to measure the scope of damage, it applied Kanako-2D model, a numerical model of debris flow. First of all, basic data was collected for numerical simulation using numerical maps before and after debris flow and the measurement data of terrestrial LiDAR. Using this, Kanako-2D model was applied and the scope of damage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debris barrier was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damage from debris flow occurred on 11,232 ㎡ area before the construction of debris barrier but after constructing the debris barrier in the area of maximum flow depth, damage occurred on 9,160 ㎡ area, about 19% reduction compared to the scope prior to debris barrier.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모형의 기본이론 및 측정장비
3. 모형의 적용
4. 결과분석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