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mparative Research on Export Structure and Its Variation Service Trade of China And India
이용수 3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Jaewon Lee(이재원)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國際商學 第31卷 第3號, 177~1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국문 초록
서비스 무역구성은 1국 서비스 무역의 발전 수준과 품질을 구현하고, 그 서비스 무역 국제경쟁력의 규모를 구현한다. 중국과 인도(이하는 양국)는 세계 경제대국이고, 근래에 경제가 급속히 성장한 신흥경제국이다. 양국은 인구, 자원 및 국정 등에서 유사점과 상이성이 공존한다. 인도는 신흥 서비스무역에서 신속히 성장하여 세계 서비스 무역의 총체적 구조에서 우
위를 점유하고, 중국은 서비스 무역구성에서 여전히 전통 서비스무역을 중심으로 한다. 이로써 양국 서비스 무역에 대한 발전현황 및 변동특징을 비교분석한다.
현재 양국은 서비스 무역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고, 중국은 서비스 무역총량과 규모에서 인도보다 컸고, 성장에서도 인도보다 조금 신속하였지만, 서비스 무역의 국가 경쟁력은 강하지 못하였다. 지식, 기술과 자본 집약형의 서비스 무역부문에서 중국은 인도보다 경쟁력격차가 존재한다. 구성변동에서, 양국은 서비스 무역 수출구성에서 총체적으로 비교적 서서
히 변동하였고, 우위폭도 비교적 작았고, 업종부문에서 중국은 노동자원 집약형 서비스 무역수출에서 여전히 주요한 부문을 점유하였고, 지식, 지술 및 자본 집약형 서비스 무역에서 수출구성의 경쟁우위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중국은 인도의 서비스 업종의 성공사례를 참조하여 중국의 서비스 무역구성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영문 초록
Service trade structure is the symbol of the level and quality of service trade. China and India have much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various aspects as development experience, labor resources, etc. Due to the rapid advancement in high-tech service trade, India has earned world attention and has gained relative advantage in international
service trade, China has a dominant position in traditional service area. China and India as research objects are chosen and analyzed. With the application of static and dynamic indexes, the structure and variation of service export in both countries are analyzed.
China has relatively larger scale and faster growth rate in service export than India, but the overall competitiveness in service trade is not strong and there is also immense difference in competitiveness among each service industry. Labor-intensive and resource-oriented services still take up a large part in the total export of China. As for
capital-intensive and technology-intensive service trade, the optimization in export structure of China is far from enough compared with India. China, using its own advantages, have to make the structure of service trade strong.
목차
Ⅰ. 서 론
Ⅱ. 양국 서비스무역에 대한 선행연구
Ⅲ. 양국 서비스무역 구성의 비교
Ⅳ. 중국 서비스무역 수출구성 경쟁전략 제안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