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Level of Competitive Intelligence: Focusing on Chinese Companies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장린린(Zhang, Lin-Lin) 김광수(Kim, Kwang-Soo)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글로벌경영학회지 제12권 제1호, 159~17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환경과 조직 측면에서 기업 경쟁정보활동수준의 결정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117개 중국기업의 표본을 바탕으로 도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다 더 적대적이거나 동태적이거나 복잡한 환경을 직면하고 있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경쟁정보활동의 수준이 높게 나타난다. 공격형과 분석형 기업은 방어형과 반응형 기업에 비해 경쟁정보활동의 수준이 높고, 하이테크 기업은 로테크 기업에 비해 경쟁정보활동의 수준이 높게 나타난다. 경쟁정보활동 경험을 가진 상위관리자의 비율이 높은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경쟁정보활동의 수준이 높고, 국유기업은 사유기업에 비해 경쟁정보활동의 수준이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핵심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중요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antecedents or determinants of the level of competitive intelligence (CI) from the environmental and organizational perspectives. Based on a sample of 117 Chinese companie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e following. Firms facing a more hostile, dynamic, or complex environment tend to have a higher level of CI than those facing a less hostile, dynamic, or complex environment. Prospectors and analyzers seem to have a higher level of CI than defenders and reactors. High-tech firms tend to have a higher level of CI than low-tech firms. Firms with proportionately more top managers with CI experiences seem to have a higher level of CI than those with proportionately fewer top managers with CI experiences. State-owned enterprises tend to have a higher level of CI than privately owned enterprises. With these key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some important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목차
I. Introduction
II.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III. Methodology
IV. Results
V.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