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University Student and Career Starter s Economic Education Effect on Economic Literacy and Consuming Behavior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박정우(Park, Jung Woo) 장용운(Jang Yong Woo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학술대회 발표논문집』2014년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국문 초록
경제교육은 올바른 경제관념 정립을 위해 중요한 교육과정이다. 올바른 경제관념은 경제활동을 실시하는 사회구성원에게 합리적인 경제 의사결정을 실시 할 수 있도록 하고, 이것은 개인차원에서 시작하여 사회전체 경제의 건전성에 기여 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있다. 또한 경제의 건전성의 바탕은 올바른 소비행동에서 시작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경제교육과 경제관념 및 소비행동의 인과관계에 대해 실증적으로 살펴볼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대학생과 사회초년생 239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하여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경제교육에 대한 이해, 지식 습득 빈도 등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경제관념
또한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교육과 경제관념은 합리적 소비행동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반면 비합리적 소비행동에는 부(-)의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어, 무분별한 소비행동을 자제시키고 올바른 소비행동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Economic education is important curriculum to increase right economic literacy.
Right economic literacy can guide people who social member to reasonable decision making, and it starts from personal dimension to the overall social economic that contribute to makes healthy structure. And heathy of economic
based on right consume behavior, so there is a need to find out empirical relationship among economic education, economic literacy and consume behavior.
on this study, collecting 239 samples from university student and starting out in career people to use research analysis. Result of empirical study show us that understanding of economic education and knowledge learning frequency which is related with level of economic education can increase economic literacy. Also
economic education and economic literacy has positive effect on reasonable consume behavior. On the other hand, economic education and economic literacy has negative effect on non-reasonable consume behavior, so it decrease random consume behavior and increase right consume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모형 및 측정
Ⅳ. 실증 분석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