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Governance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김동영(Kim, Dong-Young)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국제경상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69~8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지원센터(CGS)와 경실련(사) 경제정의연구소(KEJI)의 자료를 활용하여 기업사회적 책임과 기업지배구조(CGI)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지배구조점수가 기업사회적책임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증하였 다. 즉 우수한 기업지배구조는 기업의 사회적책임 성과를 높일 것으로 예상하고 가설을 설정하였 다.
(가설1) 기업지배구조점수는 기업사회적책임지수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자산규모가 큰 기업인 경우 기업지배구조점수는 기업 사회적 책임지수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자산규모가 작은 기업인 경우도 기업지배구조점수는 기업사회적책임지수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방법은 기존문헌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헌연구를 하였다. 다음으로 자료를 분석하는 실증연구를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통계처리방법은 기초통계량,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 한다.
연구자료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의 한국상장회사협의회의 TS2000의 재무제표와 (사) 한국지배구조개선지원센터가 평가한 기업지배구조지수 그리고 경실련 (사)경제정의연구소의 경제 정의지수가 있는 기업을 표본기업으로 한다.
연구검증결과, (가설1)(가설2)(가설3)을 종합분석해보면 기업사회적책임과 기업지배구조간의 관련성이 있고, 기업지배구조점수는 기업사회적책임지수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현상은 자산규모가 큰 기업이든 작은 기업이든 모두 기업지배구조점수가 기업사회적책 임지수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at listed companies in Korea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CGS) and Institute for Economic Justice (KEJI) using the data of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governance (CGI) to explore the relevance of saw.
The purpose of this stud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governance score affects whether index was verified. That good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expected increase was hypothesized.
(Hypothesis 1), Corporate Governanc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dex score positive (+)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Hypothesis 2) If the assets of a large company, corporate governanc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dex score positive (+)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Hypothesis 3) If the assets of the company, even a smal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governance index score positive (+)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To examine the existing literature and research methods which were based on the literature.
Next, the empirical study was to analyze the data. Empirical basis for the statistical methods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earch data from 2007 to 2009 the Korea Listed Companies Association three years of financial statements and the TS2000 of Korea Governance Service is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the evaluation gyeongsilryeon (g) of the Institute for Economic Justice Economic Justice Index of the sample firms in the industry.
Validation study results (hypothesis 1) (hypothesis 2) (Hypothesis 3) a comprehensive analysi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governance haebomyeon between relevant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governance index score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f appeared to have.
This phenomenon of assets, whether small businesses or large companies all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governance index score positive (+) showed no significant influ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Ⅲ. 실증적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