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of Social Enterprises on Application of BSC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김숙연(Kim, Suk-Yeon) 김재준(Kim, Jae-Ju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국제경상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217~23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영리조직 및 정부부처나 비영리조직에 활용되고 있는 Kaplan과 Norton(1996)의 균형성과표를 토대로 사회적기업과 같은 새로운 비영리조직의 성과측정을 위한 성과모형에 관한 성과지표를 개발하여 제시해보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기업의 BSC 관점별 측정지표로 우선 사회적 목적 실현을 위한 수익 및 이윤창출 달성이라는 비전과 미션을 설정하고, 고객이해관계자관점, 재무성과관점, 업무프로세스관점, 학습 및 성장관점, 공공성 관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Kaplan & Norton(1992, 1996)의 BSC관점의 기본 모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공성관점‘을 추가하여 기존의 BSC 모형을 변형하여 총 5가지의 성과관점으로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 와의 차별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ing and applying a BSC model of social enterprises.
BSC model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by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agencies or not-for-profit organization are being utilized in the Kaplan and Norton(1996) As an indicator measuring the BSC perspectives social enterprise-specific priority social purposes to achieve revenue and profitability to achieve that mission. And also the customer and stakeholder perspectives , financial performance perspective , the business process perspective , the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 and the public perspective are measurement indicators in BSC of social enterprises.
BSC perspectives within the scope of the Government 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re being considered by social enterprise characteristics. BSC performance model were organized into perspective in terms of existing research and differentiation in addition to the existing the public perspective ,
목차
Ⅰ. 서 론
Ⅱ. 사회적기업에 대한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성과측정도구로서의 균형성과표(BSC)
Ⅳ. 사회적기업의 균형성과표(BSC) 성과평가 지표 설계
Ⅴ. 연구의 결론 및 한계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