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 Adequacy and Banking Efficiency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창성수(Chang Seong-Soo) 원대연(Won Dae-Youn) 한재현(Han Jae-Hyu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국제경상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133~15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은행의 자본적정성 지표가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추가적으로 금융감독당국에서 관리하고 있는 경영지도 지표의 감독방향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글로벌 금융위기 시점인 2008년부터 최근 2011년까지 국내 13개 일반은행의 자본적정성 지표를 가지고 2단계(Two-stage) 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에서는 DEA방법을 통하여 은행의 효율성 추정치를 계산하였으며, 2단계에서는 비효율성추정치를 종속변수로 하여 자본적정성 변수인 BIS자기자본비율, BIS기본자본비율, 단순자기자본비율 지표를 독립변수로 한 Tobit회귀분석을 실시하고, Bootstrap 방법을 통한 강건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아울러 금융감독당국에서 정하고 있는 자기자본의 적정규모(양호등급 기준) 초과분에 대하여 효율성과의 영향을 추가로 분석(차분 모형)하였다. 차분모형은 선행연구에서 현재까지 없어 보이며, 기본모형과 차분모형의 결과는 현재 금융감독당국에서 정하고 있는 지표의 관리 정책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2단계 분석결과 BIS자기자본비율은 Bootstrap모형과 차분모형에서 모두 효율성에 음(-)의 관계를 보였으며, 단순자기자본비율은 Tobit모형, Bootstrap모형, 차분모형에서 모두 일관되게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BIS기본자본비율은 Tobit모형과 Bootstrap모형 에서는 음(-)의 관계를 보였으나 차분모형에서는 양(+)의 관계를 보여 결국, BIS기본자본비율이 일정 수준에서는 효율성에 긍정적인 관계를 보이다가 그 수준을 초과하게 되면 오히려 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capital adequacy standard affects efficiency of a bank.
Furthermore, we test whether the direction and level of regulations of bank supervisors is suitable and attempt to give some lights on this for 13 domestic commercial banks between 2008 and 2011 right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e employ a two-stage model for the analysis. In the first stage, we estimate bank s efficiency based on DEA method. In the second stage, we do Tobit regressions by using inefficiency estimated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BIS-Own-Equity ratio, BIS-Basic-Equity-Ratio, and simple equity ratio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heck the robustness of our results by a Bootstrap. Moreover, we analyze the impact of excess surplus exceeding capital requirement(good grade) set by the supervisor on bank efficiency. This model has not been investigated so far by previous studies and the results of the basis and differential model will be an important source for testing appropriateness of current standard level set by the supervisor.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BIS-Own-Equity ratio has the negative relationship on efficiency based on the Bootstrap and differential model. Simple equity ratio, however, consistently shows the positive impact on the Tobit, Bootstrap, and differential model.
BIS-Basic-Equity-Ratio has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Tobit and Bootstrap on one hand. In the other hand, in differential mode, it shows positive relationship which implies that BIS-Basic-Equity-Ratio increases the efficiency in a certain point and then decrease efficiency above the capital requir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론
Ⅳ. 데이터 및 기초통계
Ⅴ. 실증분석
Ⅵ.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