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한효정(Han, Hyo Jung)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1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 16명과 일반아동 16명을 대상으로 학습장면에서 중요한 요소인 쓰기와 관련하여 철자 쓰기 수행력을 살펴보았다. 철자쓰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표준화된 검사도구 KISE-BATT의 하위 검사인 표기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쓰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이야기 쓰기 과제를 실시한후 미시적 측면에서의 산출성(총 단어 수, 총 T-unit 수), 어휘 다양성(서로 다른 낱 말 수), 구문복잡성(T-unit 당 어 수), 산출 정확성((T-unit 당 비문율, 철자 오류율)과 거시적 측면에서의 구성력(내용 적절성, 내용 풍부성, 글 조직력, 글 응집력) 등을 분석하다. 철자 및 글쓰기 관련변 인별 수행력을 알아보기 위해 자음소리, 음소인식, 단어재인, 어휘, 표기인식, 형태인식, 읽기이해, 작업 기억, 듣기이해 검사를 실시하다.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건청 아동 간 수행을 비교하기 위해 중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건청 아동의 철자 및 글쓰기, 관련변인 간 수행차이를 살펴본 결과, 철자 및 글쓰기 수행의 경우 철자쓰기, 산출성(총 단어 수, 총 T-unit수), 어 휘 다양성(다른 낱말 수), 구문복잡성(T-unit당 평균 어 수), 산출정확성(T-unit당 비문사용율, 철자오 류율), 구성력(내용 성, 내용 풍부성, 조직력, 응집성)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철자 및 글쓰기 관련변인 수행의 경우, 자음소리, 음소인식, 형태인식, 듣기 이해는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건청 아동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단어재인, 어휘, 표기인식, 읽기이해, 작업기억은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between performance of school-aged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on a set of variables related spelling and composition tasks, (2) to identify the best predictor of spelling and composition for each group. The participants were 16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CI) and 16 normal children out of 32 in first to seconds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the standardizes reading test, CI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rder to evaluate children’s spelling and variables related spelling and writing, they were given task testing KISE-BATT subtest and set of variables related spelling and writing: letter sound knowledge, phonemic awareness, word recognition, vocabulary, orthographic awareness, morphological awareness, reading comprehension, working memor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lso in order to identify composition ability, written narrative story task was carred out. For data analysis,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was carried out to explore group differences across spelling, composition(output quantity, lexical diversity, output accuracy, syntax complexity and writing fluency), letter sound knowledge, phonemic awareness, word recognition, vocabulary, orthographic awareness, morphological awareness, reading comprehension, working memor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NOVA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ed in letter sound knowledge, phonemic awareness, morphological awareness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ccording to overall result of this study, CI children have comparable ability in spelling and writing composition to normal children. However, CI children showed lower letter sound knowledge, phonemic awareness, morphological awareness,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than normal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