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and Scarcity Message of Tourism Products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김희진(Kim, Hee-Jin)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31권 제5호, 289~30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긍정 메시지와 부정 메시지의 프레이밍 메시지 형태와 시간한정과 수량한정의 희소성 메시지 형태에 따라 그 효과가 다양하게 전달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메시지 프레이밍과 심리적 거리감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차이를 알아보고, 희소 성 메시지와 심리적 거리감이 판매촉진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차이를 알아보고자, 기존 관련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가설을 제안하였다. 검증 결과, 첫 번째로 메시지 프레이밍(긍정적)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희소성 메시지(시간한정&수량한정)는 구매의도 와 판매촉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거 리감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토대로 가설을 구성하 여 위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이론적 시사점이 논의 되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verified the change of the effects according to massage framing types (positive & negative), and scarcity message(limited-time & limited- quantity ). Especially, we are going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
of psychological distance in message framing and scarcity message affecting on sales promo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Hypotheses were derived, b a s 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led that positive message framing a ff e c t purchasing intention. Secondly, scarcity message(limited-time&limited- quantity )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purchasing intention and sales promotion. Finally, the moderating role of psychological distance was supporte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empirical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