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vestigations on Establishing a Water Circulating System for Secur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ater at the Seok-mun Detention Basi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정민(Lee Jung min) 주진철(Joo Jin chul) 윤여진(Yoon Yeo jin) 정용길(Jeong Yong gil)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6권4호, 329~33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국문 초록
도시화와 산업화 등의 각종 개발활동을 통한 불투수 면적의 증가와 국지성 강우 등의 기후변화는 도시 홍수, 가뭄 등의 원인이 되어 자연 및 환경파괴와 나아가 인간의 생명까지도 위협받고 있다. 석문국가산업단지는 과거 개발방식인 획일적인 공장용지 위주의 산업단지를 지양하고 미래 산업단지 개발의 테스트베드를 구현하고자 지구내 저류지를 단순 홍수조절용 저류지가 아닌 이수ㆍ치수 및 수질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친수공간으로 계획하였다. 저류지와 산업단지의 다양한 기능을 충족시키는 하이브리드형 친수공간 확보를 위해 석문국가산업단지 유역의 물순환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석문 저류지의 지속가능성 차원에서 수량 확보 방안 마련과 강우시 저류지 내로 유입되는 원수와 저류지내 유지용수의 수질 확보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석문저류지의 일반현황, 자연현황 및 수리ㆍ수문조사를 통해 수량 및 수질 확보측면에서 물순환, 수원, 수처리시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저류지와 수로를 분할하여 관리하는 물순환체계 구축방안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Impervious surface area and regional precipitation has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as a result of various developmental activities associated wi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such changes are detrimental to and pose a threat to human lives. Unlike the pre-vious factory-oriented model of the standardized industrial complex, the Seok-mu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ims to establish a test-bed for developing a futuristic industrial complex. Besides being a water detention basin for flood control, the test-bed is a com-prehensively designed waterfront for irrigation, flood control, and the ensuring of water quality. To ensure a hybrid-type waterfront, serving a variety of functions as a detention basin and other needs of an industrial complex,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water cir-culating system for the drainage area of this complex.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Seok-mun detention basin, solutions need to be explored for securing water and for assuring the quality of water inflow into the detention basin at time of precipitation need to be explored. In the present study,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water circulation, water sources, and water treatment facilities to ensur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ater by examining .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whether the establishment of a water circulating system, which could separately manage the detention basin and irrigation canal, would be the most appropriate approach.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