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arriage and Family Life in Response to Declining Fertility - Case of Japanese Women -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Yoon seock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2 No.6, 115~12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해석하고 이에 관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우리와 제도문화면과 저출산 고령화 양태가 유사하면서도 더욱 고령화되어 있는 일본전국의 20대 및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결혼상황, 취업상황, 육아의 상황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우리에게 도래될 저출산 고령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대응책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일본여성들은 결혼이 늦어지고 있는 이유로서 자신과 맞는 상대를 찾지 못해서라고 하였으며 객관적인 조건보다는 주관적인 면을 그 요소로서 들고 있었다. 하지만 정작 결혼여부의 단계에서는 객관적인 면이 제약요인으로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육아휴직에 대한 이해나 보육시설 및 배우자의 가사분담에 대한 부족이 아동수당 등의 경제적인 요인보다 저출산에 관한 더욱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rate of aging in Japan is fast compared to western countries. South Korea is expected to become one of the highest aged societies, almost at the same level as Japan. This rapid aging of the labor force may require different labor policies for East Asian women. This paper tries to find the determinants of getting married and parenting of young women in age between 20s and 30s of Japan, by analysing the data of family life, the social environment in order to find the factor associated with declining a birthra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aternity leave and the level of sharing household chore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ment of Japanese women. However, a children s allowance program has a little influence on the childbirth rat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연구문제의 도출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