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Chracteristics on Suicide Rate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주택학회
- 저자명
- 이지은(Ji Eun Lee) 김갑성(Kab s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주택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2016 한국주택학회 상반기 학술대회, 21~3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23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높은 자살률은 한국 사회의 삶의 질에 대해 강력하게 의문을 제기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들이 법제도적 차원 및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연구를 통해 자살은 개인의 심리적 요인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요인, 커뮤니티 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기인함이 밝혀져 왔으며, 실제로 지역별 자살률을 살펴보면 그 분포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적인 차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정책추진의 단위가 되는 시군구를 분석단위로 하여 주거환경특성요인과 지역 내 자살률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합동 OLS 모형과 랜덤효과모형에서 일관되게 지역의 활력도를 나타내는 주거환경특성인 빈집비율이 낮을수록, 여가 및 휴식공간의 수준을 나타내는 일인당 공원면적이 높을수록 자살률이 낮게 나타나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을 분리하여 분석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비도시지역보다는 도시지역에서 주거환경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들이 자살률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있어 단순히 개인적 정신심리 및 복지 차원에서의 접근 뿐만 아니라, 빈집의 비율을 줄이고 쾌적한 공원 오픈스페이스를 제공하는 등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함께 이루어질 때 보다 효과적인 정책목표 달성이 가능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분석 방법
Ⅲ. 자료 및 실증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