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개인저작물
- 저자명
- 김오식
- 간행물 정보
- 『개인저작물 - 공학』제14권 7호, 19~2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개인저작물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null.null

국문 초록
인도네시아의 전통적인 세마와르(semawar) 기름 난로를 이용한 자트로파(Jatropha) 오일 소각에서 발산되는 각종 화학물질을 몇 가지의 스펙트럼 분석 기법으로 현장에서 카메라로 모니터링 했다. 예열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의 전통적인 연소로 내지 소각로는 세마와르(semawar)로 통칭되고 있다. 이러한 세마와르를 이용해 인도네시아의 자트로파 바이오오일을 연소/소각하고, 열화상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연소 화염을 외부에서 촬영해 이차원(2-D)의 화염 분포를 얻었다. 이의 화염온도는 500~1,400℃의 범위였다. 이와 같은 연소영역에서 생성되는 화학종은 화염에서 발산되는 Uv(자외선)-Vis(가시광선) 영역의 스펙트럼을 분석해 평가했다. 이러한 스펙트럼을 이용해 NO와 C2 및 OH 화학종의 공간적 분포를 확인했다.
소각/연소 시의 고온 부분은 화염의 밑 부분에서 생성되었다. 화염은 그 밑 부분에서 방사상으로 신속하게 외부로 분산되어, 상당한 고온 영역을 형성하고, 화염의 불길은 고온부분에서 아래 방향으로 크게 퍼지면서 넓은 위치를 차지했다. 연소반응 내지 소각반응의 방사성 영역은 세마와르 연소로/소각로의 성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자트로파 바이오오일의 연소/소각에서 발산되는 이산화탄소(CO2)에 대한 현지 모니터링에서는 적외선(IR) 스펙트럼 분석기를 이용했다. 여기서 발산되는 일산화탄소(CO)와 물(H2O) 및 일산화질소(NO)를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분석했고, 이산화탄소(CO2) 발생량은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해 이차원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했다.
영문 초록
목차
목차
초록
1. 서론
2. 자트로파 오일
3. 재료 및 방법
4. 결과 및 고찰
5. 결론
6. 출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