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개인저작물
- 저자명
- 김오식
- 간행물 정보
- 『개인저작물 - 공학』14권 6호, 61~6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개인저작물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null.null

국문 초록
반응성 질소가 장기간적으로 식물과 식생에 쌓여가서 그 축적량이 증가하게 되면, 각양각색의 생태계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식물종 군락의 조성을 이용하여 질소 침적량과 그 악영향을 산정하는 데 대한 관심이 폭증하고 있다. 기존의 기법에서는 기능성 식물종의 원형/유형 비율(type ratio)과 엘렌버그 수(Ellenberg No) 및 다양성 지수를 내포하는 여러 가지의 척도를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는 그 대안으로 광범위한 침적 패턴을 파악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국가 데이터세트를 이용하는 식물종-환경 모델을 정립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분 최소자승법·가중평균법·최대개연성 가우시안 로짓회귀법(max. likelihood Gaussian logit regression)을 두 종의 영국 준(semi)-천연 서식지에 적용하여 새로운 모델을 만들고, 그 모델이 질소(N)의 침적량을 예측하는데 얼마나 적절한 지를 교차-실증/검증(cross validation)으로 증명해 보는 것이다. 그 결과로서 그 성능이 상관계수(R2) = 0.7로서 상당히 적정한 것으로 판단하여, 여기서 개발한 모델이 바이오지표 툴박스(bioindication toolbox)를 추가하여 모델링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영문 초록
목차
목차
초록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분석
4. 고찰 및 해석
5. 결론
6. 출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