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ate of Surplus Value in South Korea: 1980-2011 - Improving the Weakness of Calculation Method Using 'Monetary Expression of Labor Time'
- 발행기관
- 한국사회경제학회
- 저자명
- 정구현(Jeong Gu hyeon)
- 간행물 정보
- 『사회경제평론』 제50호, 25~5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국문 초록
잉여가치율 계산에 이용하는 표준적 모형 중 하나로 국민소득계정을 이용한 노동시간의 화폐적 표현 모형을 들 수 있다. 이 모형은 몇 가지 뛰어난 강점이 있지만, 결정적으로 잉여가치율을 과소평가하게 하는 약점을 지닌다. 본 연구는 이 약점의 원인을 분석하고, 마르크스의 가치론에 부합하도록 노동시간의 화폐적 표현 모형을 보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완된 모형을 바탕으로 1980년에서 2011년까지 한국의 잉여가치율을 계산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Monetary Expression of Labor Time(MELT)’ model using National Income-and-Product Accounts(NIPA) is one of the standard methods used to calculate rate of surplus value. Although, MELT model has several important advantages, its weakness is fatal because this model underestimates the rate of surplus valu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ause of this underestimate, and to improve the MELT model so that it corresponds to Marx's value theory. This argument will be supported by the empirical evidence, the rate of surplus value in South Korea, 1980-2011.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쟁점 및 방법론
Ⅲ. 실증 결과 및 함의
Ⅳ. 결론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